|
|
|
|
도가의 인식론
|
|
|
|
도가의 인식론(道家의認識論)
目次
1. 緖言
2. 意識志向과分別知
3. 意識志向의否定과無知
4. 明知의體得
5. 結語
1. 緖言
우리가 一般的으로 哲學의三大問題를形而上學(存在論),認識論,價値論(倫理學과美學)이라고 할때中國哲學에서 가장 발달되지 않은 분야가 認識論이라고 말할 수 있다. 우리는 그 이유를 여러 가지 측면에서 찾아 볼수 있을 것이다. 馮友蘭은그 이유를 우선 哲學의方法論에서 찾고 있다. 그는 中國의哲學者들이 명석한 槪念보다는 모호한 直觀을 좋아하며 直觀에 의존해서 哲學을 전개했다고 말한다. 그는 또中國에서 直觀을 중시하게 된 원인을 農業과 관계있는 것으로 본다.-原始的純樸함, 직접 理解한 것을 중시-이러한 이유 때문에 中國哲學에서는 認識論이 발전하지 못했다고 한다.
中國의哲學者들은 目前에 있는 것이 實在的인 것인지 幻想的인 것인지, 그리고 그것은 나의 정신에 하나의 觀念으로만 있는 것인지, 아니면 客觀的인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인지를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그런 認識論的問題들은-인도에서 전해진 佛敎를 제외하면-中國哲學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원래 認識論的問題들은 主て客의限界가 강조될 때에만 제기되는 것인데, 中國哲學에는 그런 限界가 분명하지 않다. 오히려 中國哲學에서는 認識主觀과認識對象이 하나의 全體이다.
中國哲學에서 認識論이 발달하지 않은 또 다른 이유를 馮友蘭은中國의言語的 특성에서 찾고 있다. 中國哲學에서 사용하는 言語는暗示的이고 명확하지가 않다. 따라서 하나의 槪念이多義的으로 해석될 수 있다. 中國哲學의言語는 어떤 演繹的推理過程의槪念이 아니기 때문에 그 의미가 명확하지 않다. 中國의哲學者는 자기가 아는 것을 우리에게 말할 뿐이다. 그리고 그러한 이유 때문에 그 말하는 것이 내용은 풍부하나 말은 간결하다. 그래서 그 말은 정확하기 보다도 暗示的이다.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