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중기 華嚴宗과 義天
리포트 > 사회과학
고려 중기 華嚴宗과 義天
파워포인트
2013.03.27
48페이지
1. 고려 중기 華嚴宗과 義天.pptx
2. 고려 중기 華嚴宗과 義天.pdf
고려 중기 華嚴宗과 義天
고려 중기 華嚴宗과 義天
華嚴宗이란
경전 : 『大方廣佛華嚴經』
-60권본(晋本), 80권본(唐本), 40권본(唐 德宗)
화엄교학 : 法界緣起
-전 세계는 一卽一切 一切則一의 관계를 갖고 있어 圓融無함.
-四法界 : 事法界
理法界
理事無法界
事事無法界

만물의 본질적 평등을 주장
華嚴宗이란
역사 : 불타(佛陀)의 화엄종 한역 지론종 성립 두순(杜順) 지엄(智儼)
법장(法藏) 징관(澄觀) ·종밀(宗密)
자선(子璿) ·정원(淨源)
한국의 화엄종
-원효, 의상이 크게 선양함
-통일신라 말 북악파/남악파로 분파
-균여, 의천

序論
2) 고려왕실과 華嚴宗
고려왕실이 화엄종을 지원하게 된 이유
문벌귀족의 견제
불교교단 재편의 필요성
序論
1) 고려중기 왕실과 불교의 관계
護法= 護國
- 국왕에 의한 불교의 수호 강조
- 왕실과 불교의 이해관계가 합치됨
왕자 출가가 항례화 되고 장기 지속됨
- 왕실에 의한 불교의 통제
- 문벌귀족과의 권력관계에서 중요
Ⅰ. 義天의 生涯
義天의 出家
渡宋活動
歸國 後 活動
1. 義天의 出家
1) 의천의 출생과 출가 당시의 상황
정치적 상황
문벌귀족의 성립
왕권의 안정

불교의 상황
敎宗 중심으로 禪宗까지 통합하려는 사상
화엄종이 주류가 됨
1. 義天의 出家
2) 의천의 출가
1065 靈通寺 爛圓에게로 출가
1065 佛日寺 戒壇에서 具足戒 受戒
1067 僧統
1. 義天의 出家
3) 의천 출가의 이유
개인적 이유
- 불교에 대한 관심, 승려가 되고자 함

정치적 이유
- 문종의 의도: 불교계에서 국왕의 우위를 차지하고자 함
2. 義天의 渡宋活動

1. 渡宋의 목적
2. 渡宋의 과정
3. 宋과의 佛敎交流 慧因寺와의 관계
4. 渡宋의 결과와 의의
2. 義天의 渡宋活動
....
의상이 도입한 화엄종 성리학
전기의 종교와 문화 고려의 학문
[중기재정계획] 중기재정계획의 개념(정의)과 .. 고려시대의 한문학
조선 중기의 양란으로 인한 사회 변동에 대한 .. 중국의 화엄종과 그 사상
대한민국은외국투기자본의천국인가 무신정권[武臣政權]의 성립
전라도 답사지 - 선암사에 대해 통합적 글쓰기, 효율적인 독서법, 논리적 글쓰..
계획의 유형 (가족복지) 치매노인 부양가족 가족상담개입 사..
 
독거 노인 실제 사례관리 보고..
조직문화의 개념과 기능, 자신..
인간의 생애주기별 욕구에 따..
접수, 사정, 계획, 개입, 평가..
사회복지사가 갖추어야 할 공..
1. 정신장애인의 인권침해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