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양국의 다문화 정책과 실태
리포트 > 사회과학
한·일 양국의 다문화 정책과 실태
파워포인트
2013.03.27
81페이지
1. 한·일 양국의 다문화 정책과 실태.pptx
2. 한·일 양국의 다문화 정책과 실태.pdf
한·일 양국의 다문화 정책과 실태
한·일 양국의 다문화 정책과 실태
한국 1. 중앙정부의 다문화 정책
2. 지방 정부의 다문화 정책 사례
3. 한국 다문화 정책의 문제점
일본 1. 지자체 중심의 다문화 정책
2. 다문화 정책 우수 사례
3. 다문화 정책에 있어서 일본 정부의 소극적인
태도와 문제점
한일 양국의 다문화정책의 문제점 비교 및 시사점
목차
중앙정부의 다문화정책
韓國

한국에서의 이주 노동자 유입은 1988년 이후 본격적으로 일어난 현상.
1991년부터 산업연수제를 통해 주로 저소득 국가 출신의 이주민 노동자들을 도입.
2004년도부터는 고용허가제로 대체하여 시행.

→고용허가제를 통해 이주노동자들이 노동자로 인정받기는 하였으나 아직 내국인 근로자에 비해 보호받는 권익은 제한적이다. 특히, 자유로운 구직활동은 엄격히 제한되고 있음.
중앙정부의 다문화정책

‘이주에서 이민으로’ (2005년 천정배 법무부장관)
2006년 6월, 노무현 대통령은 다문화사회가 피할 수 없는 흐름이라고 지적.
→외국인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이주정책에서 벗어나 외국인과의 공생을 염두에 둔 다문화정책으로 전환하는 계기.
2006년 하인즈 워드의 내한으로 혼혈에 대한 관심 급등
2006년 4월, 행정자치부에서 다문화사회 형성을 정책목표로 제안. 대통령산하 차별시정위원회는 혼혈자와 결혼이주자에 대한 사회통합 지원안 제시.
중앙정부의 다문화정책

....
다문화가정 시선과 편견분석 / 다문화가정 해외.. 태평양전쟁 기원 - 석유문제를 중심으로
다문화 - 다문화 가정의 실태와 정책 다문화가정 개념,원인분석과 다문화가정 국내,..
한국군의 발전 과제 [ 다문화가정 문제점과 개선방안연구 보고서] ..
한국과 일본의 경제협력과 기업의 경쟁력 비교.. 한국과 일본의 경제협력과 기업의 경쟁력 비교..
한일 양국의 교육현황과 교육개혁 다문화 가족 복지론 - 다문화가정과 사회복지
다문화가정 국내,해외정책사례와 다문화가정 문.. 다문화가족지원법(다문화가족복지, 입법배경, ..
다문화가정 증가배경과 다문화사회의 문제점분.. 가족복지정책(경제적 지원정책, 한부모가족지원..
 
사회복지의 관한 용어정리와 ..
자원봉사자의 인정과 보상방안
사회문제해결과사회복지정책
공공부조와 사회보험의 차이를..
전세사기 유형과 예방책 연구 ..
노인빈곤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