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소마취제의 종류와 특징
리포트 > 의/약학
국소마취제의 종류와 특징
한글
2011.06.13
3페이지
1. 국소마취제의 종류와 특징.hwp
2. 국소마취제의 종류와 특징.pdf
국소마취제의 종류와 특징
국소마취제의 종류와 독성과 예방 및 치료
1.Esterg형 국소마취제
(1)Coccaine
-유일하게 합성제제가 아닌 자연산으로, 전신독성과 습관적 중독작용이 있어 잘 쓰이지는 않는다. 신경말단에서 nerepinephrine 재흡수를 방지하기 때문에 혈관수축작용이 있어 출혈감소, 울현된 점막에 살포한 후 경비 기관 내 삽관이나 코를 통한 부비동 수술시 유용하다. 하지만 coccaine은 각막혼탁을 유발하고 각막표피 세포증식을 억제해 안과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2)Procaine
-처음으로 인공합성된 국소마취제로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효력이 약하고 혈장 pseudocholinesterase에 의해 빠르게 가수분해 되므로 전신 중독 반응이 적어 광범위한 신경차단에 이용되었으나, para-aminobenzoic acid가 연속적으로 사용할 때 알러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3)Chloroprocaine
-Procaine의 방향산의 한부분이 halogen으로 대치된 상태로 procaine에 비해 4배정도 빨리 가수분해 된다. 가장 중독반응이 적은 마취제로, 지속적 경막외 마취에많이 사용하고 우발적으로 지주막하강에 들어가면 강한 산성이기 때문에 감각과 운동장애를 남기는 위험이 이 있고, 발현시간이 짧고 태아에 독성이 적어 산과적 경막외 마취에 우선적으로 쓰인다.
2.Amide형 국소마취제
(1)Lidocaine
....
국소 마취제 [의학 간호학]신경블록-마취통증의학과
척추 및 경막외 마취 쥐[RAT] 해부
흡입마취 성인 간호학 실습 - 정형외과 약물 리스트[List]
[의학보고서] 여성건강 간호 - 분만 직후의 신.. 유전적 암
운동과 건강 - 뇌혈관 질환과 운동 진동 과제물
[의학] 편마비 증상 [편마비 환자의 SIGN AND S.. [의학] 무릎별 손상기전과 치료방법에 관해
뼈와 관절의 감염1 [의학] 뇌졸중 환자의 간호
 
[물리치료] TAPING[타이핑] 치..
[의학공학개론] MRI[자기공명..
[치매] 치매의 개념과 유형(종..
[운동과 건강] 성인병과 운동
성인병의 정의 및 원인과 관리..
[성인간호학]폐렴, 치료와 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