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사회문화] 한국형 축제 모델을 찾아내자
|
|
|
|
한국형 축제 모델 찾아내자
Ⅰ. 요즘 축제는 놀이적 측면 강화된 종합축제
축제는 경사스러운 날과 제사 드리는 날의 합성어다. 이를 한자로 풀어 보면, 사람(人)이말(口)로 신에게 비는(示)축(祝)과 제물(肉)을손(手)으로 제상(示)에 올려놓고 제사지내는 제(祭)가 합쳐진 낱말이 축제다. 즉 어원상 경사스러운 어느 특정한 날을 기념해 인간이 신에게 봉헌하는 의식을 가리킨다고 하겠다.
축제는 지역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공감할 수 있는 기념할 만한 일이나 사건 또는 인물을 중심으로 제사를 지내면서 그 의미를 기리는 행사가 돼야만 축제로서의 존재가치가 있다. 특히 전통 축제는 지역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수 세대에 걸쳐 축적해온 고유 문화를 정례적으로 표출하는 행사가 되므로, 우리들은 그 축제에 참가함으로써 선조들의 역사와 삶의 방식을 배울 수 있다. 흔히 종합예술이라고 일컬어지는 이들 축제 속에는 좁게는 한 시대나 한 지역의 문화부터, 넓게는 우리 민족의 문화가 융해돼 있다.
전통적인 세시풍속과 소설 속 배경이 축제로 승화된 대표적 사례로 강릉 단오제와 남원 춘향제를 보자. 지역주민들의 폭넓은 공감대를 바탕으로 탄생한 이들 축제는 벌써 수십년 혹은 수백년 동안 그 명성을 지켜오면서 전국축제로 발전했으며, 이제는 세계적 축제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처럼 지역축제에서 출발한 행사가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그 규모가 커지고 내용도 풍성해질 수 있던 비결은 무엇보다 지역주민의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 때문이라고 볼수 있다.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