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현대사] 19세기와 양물(洋物)
리포트 > 인문/어학
[한국근현대사] 19세기와 양물(洋物)
한글
2011.07.12
4페이지
1. [한국근현대사] 19세기와 양물(洋物).hwp
2. [한국근현대사] 19세기와 양물(洋物).pdf
[한국근현대사] 19세기와 양물(洋物)
19세기와 양물(洋物)
- 의복의 변화를 중심으로 -

Ⅰ. 전통적 의생활

복식은 조선전기에 있어 명복식의 영향에서 관복제도가 확립되었고 중, 후기에 들어와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치르는 동안 중국에서는 한족에 의한 명이 멸망하고 만주족에 의한 청이 등장하자 관복을 그대로 고수하면서 우리의 복식이 형성되었고 정착을 보았다. 조선왕조시대의 복식의 구성은 중국에 대한 사대주의가 철저하여 중국 명나라 제도를 따르기에 급급했으며 여기에 혼잡성을 가진 고려제도를 이어받아 극도로 다양화해서 복식의 포화상태를 이루었다. 기본 복식형태도 유교예적 사상에 의한 생활감정에 따라 사대부 계급의 복식은 더 많은 변화를 보였으나 서민의 의복은 커다란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왕비관복을 보면 명에서 전수한 왕비복은 명의 군왕비 예복이었고 이를 습용해 왔는데 그제도는 명의 황후복을 볼 때 그 예복인 적의가 아니었으며 상복에 속하는 대삼이었는데 국혼정례에는 적의제가 있어 명의 제도를 따르고 있음이 보여진다. 왕비의 예복으로는 대삼 적의를 입었고 평상복에는 당의를 입었으며 사례편람 관례조에서 보면 길이는 무릎까지 닿고 소매는 좁다는 것으로 나와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서경의 고려도경 귀부녀조에 보면 왕비 부인은 대홍의를 입고 이에는 자수를 놓았으며 국관서민의 처는 입지 못하였음을 알 수가 있다. 일반서민에 있어서는 기본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은 저고리 치마로서 삼국시대 이래 변함이 없었고 단지 저고리 길이가 짧아지고 착수화하고 옷고름을 매게된 것이 변화점이었다. 저고리 치마를 제외한 나머지 복식 즉 적의, 라의, 장삼, 원삼, 화삼, 배자, 당의와 치마가 있어 스란치마, 대란치마 관모에 있어서는 족두리 화관등이 모두 중국복식의 영향이었으나 우리 양식으로 변용되었다

Ⅱ. 개화기의 의복

....
[한국근현대사] 19세기 사회변동과 동학사상 [한국근현대사] 21세기 우리문화 그리고 지난 1..
한국근현대사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책과 영화 비교
한국근현대사 관련 유적지 조사 및 답사 혼돈을 극복한 선진국 프랑스의 근현대사
한국 근현대사 역사, 근대의 시작, 3.1운동, 항.. 소설속에 나타나는 한국 근현대사
한국 근현대사를 통해보는 나의 가족사 - 우리 .. 한국근현대사
에스페란토 운동 대학생들의 호국보훈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근현대사] 일제치하에서 조선지식인들의 .. [근현대사] 한국전쟁 민간인 학살에 관한 고찰 ..
 
서정주 시 연구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방법과 ..
(영어학개론)An Introduction ..
[올해최신][이순신장군의리더..
이순신장군의리더십
한용운의시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