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訓民正音) - 해례(解例)를 중심으로 -
리포트 > 인문/어학
훈민정음(訓民正音) - 해례(解例)를 중심으로 -
한글
2011.08.15
5페이지
1. 훈 민 정 음.hwp
2. 훈 민 정 음.pdf
훈민정음(訓民正音) - 해례(解例)를 중심으로 -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1. 제자해 (制字解) - 제자원리를 중심으로
1.1 자음 (초성)
1. 2 모음 (중성)
2. 초성(初聲)와 종성(終聲)
2. 1 초성
2. 2 종성
3. 성음(成音)
♧ 참고 문헌
자주(自主)애민(愛民)실용(實用) 정신에 바탕을 두고 창제된 훈민정음(訓民正音)은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문자의 이름(諺文, 정인지 서)으로서의 훈민정음과, 훈민정음의 해설로 쓰인 해례본을 지칭하는 책 이름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세종 25년(1443) 훈민정음이 창제된 이후 세종 28년(1446) 반포된 훈민정음 해례본은 본문(本文)인 ‘예의(例義)’, ‘해례(解例)’, ‘정인지서(鄭麟趾序)’로 구성되어 있다. ‘예의’는 ‘어지(御旨), 자모의 음가(音價)와 운용(종성법, 연서법, 병서법, 부서법), 성음법(聲音法)과 사성점(四聲點)’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해례’는 ‘五解一例’라 하여 예의(본문)에 간단하게 언급된 내용을 자세히 설명한 것으로, ‘제자해,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 합자해, 용자례’로 짜여져 있다. ‘정인지서’는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 의의, 경위 등을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해례’의 내용을 기본으로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와 초중종성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제자해 (制字解) - 제자원리를 중심으로
正音二十八字 各象其形而制之.
제자해에 명시되어 있듯, 정음(훈민정음)의 스물 여덟 글자는 각각 그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 훈민정음 제자원리의 바탕은 상형(象形)이다.
1.1 자음 (초성)
(1) 初聲凡十七字 ⇒ 초성은 모두 17자이다.
牙音 象舌根閉喉之形⇒아음(어금닛소리) 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뜨고,
舌音ㄴ 象舌附上之形 ⇒설음(혓소리) 은 혀(끝)가 윗 잇몸에 붙는 모양을 본뜨고,
문법, 훈민정음, 해례, 중세국어, 국어사
강신항(1990),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고영근(1997), 개정판 표준중세국어문법론, 탑출판사.
이기문(1998), 신정판 국어사개설, 태학사.
한글의 과학성과 독창성 한글의 독창성과 과학성
훈민정음에 대한 분석 훈민정음 기원설
훈민정음창제의배경및목적1 음절의 특성과 음절 구조
한글[훈민정음] 창제의 과정 옛말의문법
훈민정음조사 훈민정음
[사례 분석]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창제원리를 간략히 서술하시오
훈민정음 훈민정음에 대해
 
서정주 시 연구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방법과 ..
(영어학개론)An Introduction ..
[올해최신][이순신장군의리더..
이순신장군의리더십
한용운의시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