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법상 단체교섭 위임에 대한 법적 검토
리포트 > 법학
노조법상 단체교섭 위임에 대한 법적 검토
한글
2011.08.29
2페이지
1. 노조법상단체교섭위임에대한법적검토.hwp
2. 노조법상단체교섭위임에대한법적검토.pdf
노조법상 단체교섭 위임에 대한 법적 검토
단체교섭 위임에 대하여

Ⅰ. 들어가며

헌법상 보장된 단체교섭권을 구체적으로 보장하기 위하여 현행법에서는 단체교섭의 위임을 인정하고 있다. 여기에서 단체교섭의 위임이란 단체교섭을 직접 담당할 수 있는 교섭권한을 위임하는 것으로서 단체교섭의 담당자를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구법에서는 단체교섭권의 위임을 노동조합이 가입한 상급연합단체에만 허용하여 왔으나, 개정법에서는 교섭의 합리성과 전문성제고를 위하여 상급단체뿐만 아니라 외부노동전문가 등의 제3자도 위임의 상대방이 될 수 있음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단체교섭권 위임의 보장취지는 단체교섭의 당사자가 단체교섭을 행함에 있어서 단체교섭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근로자들의 권익을 보다 실질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인정된 것이라 할 수 있다.

Ⅱ. 단체교섭 위임의 범위

1 위임의 상대방

1) 학설의 대립
위임의 상대방에 대하여 자연인에 국한된다는 견해와 자연인뿐만 아니라 단체도 가능하다는 견해의 대립하고 있다.
2) 검토의견
단체교섭의 위임의 취지가 단체교섭력의 강화에 있다는 것을 상기할 때 자연인 뿐만 아니라 단체도 위임의 상대방이 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2 수임자의 교섭권한의 범위

....
단체교섭의 위임에 대하여 약술하라 단체교섭의 위임의 내용 및 제3자 위임금지조항..
부당노동행위유형중 단체교섭의 거부 관련 판례.. 단체교섭권한의 위임과 제3자 위임금지협약에 ..
단체교섭의 대상 관련 검토 단체교섭의 대상에 대한 노조법상 연구
단체교섭의 거부와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세부 .. 단체교섭의 당사자와 담당자에 대한 법적 연구
노동조합 대표자가 단체교섭 및 협약 체결권자.. 복수노조하 교섭대표노동조합의 결정
노조법상 단체교섭권 단체교섭의 당사자 및 단체교섭권의 경합1
단체교섭의 당사자 및 단체교섭권의 경합 단체교섭의 거부
 
[법학] 전세권
범죄자 얼굴공개 찬성
민사소송법상 당사자의 확정에..
민사소송법상 당사자적격에 대..
민사소송에서 성명모용소송의 ..
조합 활동과 노무 지휘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