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교섭의 방식에 있어서 프랑스의 비례대표제 고찰
리포트 > 법학
단체교섭의 방식에 있어서 프랑스의 비례대표제 고찰
한글
2011.08.29
3페이지
1. 단체교섭의방식에있어서프랑스의비례대표제..
2. 단체교섭의방식에있어서프랑스의비례대표제..
단체교섭의 방식에 있어서 프랑스의 비례대표제 고찰
프랑스의 비례대표제 고찰 (단체교섭의 방식)

Ⅰ. 들어가며

프랑스의 기업별 단체교섭의 특징으로는 첫째 복수노조주의의 완전한 보장, 둘째 노조의 대표성유무에 의한 교섭제한과 대표성의 존중, 셋째 교섭시기의 단일화, 넷째 하나의 기업(또는 사업장)에는 하나의 기업별(사업장)협약, 다섯째 조합가입대상자일 경우 조합가입 유무를 불구하고 모두 협약적용, 여섯째 과반수의 지지를 얻은 노조에게 일정한 거부권의 보장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Ⅱ. 비례대표제의 내용

1. 교섭당사자 - 대표적 노조조직

기업별단체교섭에서는 다른 교섭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사업주)와 대표적 노동조합(혹은 그 산하조직)이 교섭당사자가 된다. 그런데 여기서 노동조합측의 교섭당사자로는 기업내 존재하는 모든 노조가 아니라 대표적 노조조직(代表的 勞組組織)이어야만 교섭권을 갖는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그 대표성은 미국과는 달리 과반수나 다수결의 사고와 관계없이 해당노조가 자주성과 민주성, 조직성을 구비하여 노조로서의 활동이 가능하면 되기 때문에, 그 대표적 노조조직이 복수일 수 있으며 심지어 소규모노조도 대표적 노조조직일 수 있다.

통상 전국적 차원에서 대표성을 인정받는 노조조직에 가맹된 노조는 일반적으로 단체협약과 기타 협정을 체결할 수 있는 자격이 있는 것으로 추정받는데, 현재 다섯개의 전국적 총연맹(CGT, CFDT, FO, CFTC, CGC)은 전국적 차원에서 대표성을 인정받는 노조로 인정되었다. 따라서 이런 전국적 총연맹에 가입된 노조는 교섭과 협약체결권이 보장되는 것이다.

2. 단체교섭의 절차

1) 교섭대표의 구성

....
프랑스의 복수노조 교섭 창구 단일화 미국의 배타적 교섭대표제도 고찰
복수노조와 교섭 창구 단일화 11 프랑스의 통치구조
복수노조와 교섭 창구 단일화 방안으로써의 비.. [지방자치학] 지방선거제도
[지방자치학] 지방선거와 정당의 관여(정당공천.. 복수노조와 교섭 창구 단일화 방안으로써의 과..
복수노조와 교섭 창구 단일화 방안으로써의 자.. 복수노조 시대의 단체교섭시 예상되는 노조측의..
복수노조대응 복수노조 관련 현행법의 규정 및 진행 경과와 ..
최근 독일의 선거와 EU 내에서의 독일의 리더쉽 [정치학] 선거와 선거체제
 
[법학] 전세권
범죄자 얼굴공개 찬성
민사소송법상 당사자의 확정에..
민사소송법상 당사자적격에 대..
민사소송에서 성명모용소송의 ..
조합 활동과 노무 지휘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