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후 미 군정 3년 시기의 분단저지 운동에 대하여
리포트 > 사회과학
해방 후 미 군정 3년 시기의 분단저지 운동에 대하여
한글
2011.08.29
3페이지
1. 해방후미군정3년시기의분단저지운동에대하..
2. 해방후미군정3년시기의분단저지운동에대하..
해방 후 미 군정 3년 시기의 분단저지 운동에 대하여
광복 후 미군정 시기 분단 저지운동

1. 들어가며

1945년 8월 15일, 일제의 압제와 수탈로부터 해방된 다음날 민족지도자 여운형이 “지난날의 아프고 쓰라린 것들을 이 자리에서 다 잊어버리고 이 땅에다 합리적이고 이상적인 낙원을 건설해야 한다”고 연설하였을 때 민족 구성원 모두는 해방의 기쁨과 함께 자주독립국가 건설에의 벅찬 희망에 가슴 부풀어 있었다.

이어서 ‘건국준비위원회’를 조직하고 ①독립국가 건설 ②민주정권 수립 ③대중생활의 확보와 질서유지를 강령으로 채택하였는데, 해방 10여일만인 8월 말까지 전국적으로 145개소의 ‘건준’지부를 설치할 수 있었고, 9월 6일에는 전국인민대표자대회를 열어 주석 이승만, 부주석 여운형, 국무총리 허헌, 내무부장 김구 등 조직부서와 시정방침을 정하고 ‘조선인민공화국’을 선포할 수 있을 만큼 대중적 지지 속에서 자주적 통일민족국가 건설 작업은 활기 있게 진행되어가고 있었다.

2. 분단의 움직임

그러나 해방된 기쁨의 땅에 전개되고 있는 이 당연한 추세와는 달리 심상치 않은 조짐이 보이기 시작하였다. 즉 9월 2일 연합군사령부 명령 1호는 북위 38도선 이북의 지역은 소련, 그 이남의 지역은 미국이 일본군의 무장을 해제한다고 발표하였고, 9월 6일에는 남북간의 전화통신 및 우편물 왕래가 중단된다고 하였다. 또한 9월 9일에는 38도선 이남 지역에 대한 미군정을 선포하여 미군정청을 설치(9월 19일)하였고, 10월 10일에는 38도선 이남지역에는 오직 미군정부가 있을 뿐 그 어떤 정부도 있을 수 없다고 선언하였다.

이때 민족구성원들 사이에서는 38도선 철폐 논의가 제기되었는데 그 무렵 중도적 민족주의자 안재홍은 연합군 사령관 맥아더에게 ‘38도선을 즉각 철폐할 것’을 요구하는 건의문을 제출(9월 29일)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미 1945년 11월 무렵부터 미국 측의 정책은 남한단독정부 수립을 준비하고 있었다.

....
한미관계 남북 분단의 경제적 영향, 귀속재산 범위, 미 ..
해방정국과_미소군정_ 외환위기 이전 한국금융제도의 구조적 특징
건국전의 김규식과 여운형의 통일주장과 통일운동 가족복지론 - 혼혈인 복지에 대해서
남한과 북한이 분단된 역사적 배경, 북한 식량.. 북핵문제로인한북미갈등
(세상읽기와 논술 C형) 최근 교학사 역사 교과.. 한국 사회의 이해 - 해방전후
8.15직후 정치지도자 노선 비교 제국주의[1]
제국주의 북한에 대하여
 
종군위안부문제에대한
비영리조직에서 후원자개발과 ..
긴급재난지원금 정책집행의 효..
노인빈곤문제
사회복지의 관한 용어정리와 ..
자원봉사자의 인정과 보상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