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전통 예절 - 어린이들에게 가르칠 예절[차 예절, 전통예절, 생활예절등]
|
|
|
|
※ 전통 예절 ※
▨ 간단한 예의 표시(읍례법, 揖禮法)
- 장소나 기타 사정으로 절을 해야 할 대상에게 절을 할 수 없을 때 간단하게 공경을 나타내는 동작이다. 따라서 어른을 밖에서
뵙고 읍례를 했더라도 절을 할 수 있는 장소에 들어와서는 절을 해야 한다. 요사이 경례가 읍례를 대신하지만 의식행사에서는
읍례를 해야 한다.
▨ 읍례의 종류
∞ 상읍례(上揖禮) : 자기가 읍례를 했을 때 답례를 하지 않는 높은 어른에게나 의식행사에서 한다.
∞ 중읍례(中揖禮) : 자기가 읍례를 했을 때 답례를 해야 하는 어른에게나 같은 또래끼리 한다.
∞ 하읍례(下揖禮) : 어른이 아랫사람의 읍례에 답례할 때 한다.
▨몸가짐을 바르게
- 명심보감 준례편 4장 -
『 出門如見大賓하고 入室如有人이니라 』
해설 : 문밖에 나설 때에는 큰 손님을 대하는 것 같이하고 방으로 들 때
는 사람이 있는 것 같이 해야 한다.
뜻 풀이 : 사람이 밖에 나갔을 때에는 행동을 예의 바르게 하고 몸가짐이
점잖고 무게 있게 하여 마치 귀한 손님을 대하듯이 하여야 하며 또 방에 들어갈 때에는 아무리 혼자 있더라도 옆에 사람이 있는 것 같이 행동을 삼가고 조심해야 한다는 것을 일러주고 있다.
▨ 한복 입기
(1) 여자 - 여러 종류의 속옷을 겹쳐 입은 위에 치마와 저고리를 입고 봄, 가을에는 조끼나 마고자, 겨울에는 방한용으로 배자나 두루마기를 입는다.
치마 입는 방법 : 왼쪽 자락이 트이게 입고 허리의 여밈 분량은 등 너비의 ⅔ 정도이다.
옷고름 매기 :
∙ 안고름을 매거나 스냅을 채워 고정시켜 동정니를 맞춘 다음 긴 고름은 아래로, 짧은 고름은 위로 가게 겹쳐 묶는다.
∙ 긴 고름으로 고를 만들어 왼손으로 잡는다.
∙ 짧은 고름으로 고를 감아 고와 묶음 사이로 뺀다.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