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법상 행정행위의 철회 검토1
리포트 > 법학
행정법상 행정행위의 철회 검토1
한글
2012.01.18
3페이지
1. 행정법상 행정행위의 철회 검토1.hwp
2. 행정법상 행정행위의 철회 검토1.pdf
행정법상 행정행위의 철회 검토1
행정행위의 철회에 대한 법적 검토

I. 들어가며

행정행위의 철회란 하자없이, 즉 적법하게 성립한 행정행위를 행정청이 후발적 사유에 기하여 장래를 향하여 그 효력을 상실시키는 별개의 행정행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행정행위의 취소와 철회를 모두 행정개입수단 또는 행정목적의 달성수단이라는 관점에서 파악하여 동일시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II. 철회권자

행정행위의 철회는 처분청만이 할 수 있고 감독청은 처분청에 철회를 명할 수는 있으나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직접 당해 행위를 철회할 수는 없다.

III. 철회권의 근거

1. 철회자유설
철회권의 유보․상대방의 귄책사유․사정변경 등을 이유로 한 철회는 상대방의 신뢰보호의 가치가 없으며 더 큰 공익을 위한 경우는 신뢰보호의 문제가 있지만 손실보상으로 보전된다는 점 등을 이유로, 철회사유에 해당하면 법률상 철회권을 인정하는 명문의 규정이 없더라도 철회는 가능하다. 한편 상대방의 권익보호는 철회제한의 법리로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2. 철회부자유설
철회는 공익상 필요 등 처음부터 행정행위에 내재되어 있지 않았던 다른 사유로 효력을 소멸시키는 것인 만큼 법적 안정성과 법률 유보원칙의 견지에서 법률상 명문의 근거가 필요하다.

IV. 철회사유

1. 상대방의 유책행위에 대한 제재
....
행정행위의 철회에 대한 검토 행정행위의 종류에 대한 검토
행정행위의 하자 [행정법] 행정행위의 하자와 취소, 철회, 실효
행정법상 행정행위 일반의 개요1 [행정법] 행정행위의 철회
[행정법] 행정행위의 무효와 취소 [행정] 행정행위의 철회
민사소송행위의 철회 [행정법] 행정행위의 성립과 효력 그리고 하자 ..
[행정] 행정행위의 하자(흠) 행정법상 행정절차 검토1
민사소송에서의 소송행위의 철회와 취소 행정법상 동의에 의한 행정행위 검토1
 
[법학] 전세권
범죄자 얼굴공개 찬성
민사소송법상 당사자의 확정에..
민사소송법상 당사자적격에 대..
민사소송에서 성명모용소송의 ..
조합 활동과 노무 지휘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