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시제- ‘-었-’의 형성과정과 실현, 의미에 관하여 -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
|
|
1. 들어가며
2. ‘-었-’의 형성과정
3. ‘-었-’의 의미
4. 나오며
5. 참고문헌 |
|
|
|
1. 들어가며
시제에는 발화의 시점과 그 문장 안에서 기술된 사건, 행위, 일의 상태와 시간과를 관계지어 주는 “움직임이나 상태가 시간의 흐름 가운데서 일어나는 점”을 나타내는 좁은 의미의 시제가 있고, 또 넓은 뜻의 시제 안에는 어떤 동작이나 사건 속에 시간적 폭이 어떻게 펼쳐져 있는가, 즉 “움직임의 모습의 범주”를 나타내는 상과 “표현 내용에 대한 말할이의 태도”라는 화자의 심리적 태도를 보이는 법”의 범주가 있다(허웅:1981).
실제 국어에서 시제법을 실현하는 모습은 다양한데 시제를 나타내는 형태소가 따로 있어 앞에서 살핀 시제, 양상, 서법의 세 관념이 서로 별개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은 늘 관련성을 가지고 시제법 체계를 형성하고 있어서 시제․양상․서법의 세 관념 가운데 어느 것을 실현하는지 파악하기란 대단히 어렵다. 이로 인하여 고대․중세․근대․현대 국어에 이르기까지 시제의 연구도 연구자에 따라 동일한 형태소가 때로는 서법 범주 또 때로는 시제나 상의 범주로 설정되고 있어 무척 혼란스러운 상황이다.
이러한 시제가 실현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시제어미 ‘-었-, -겠-, -느-, -더-’에 의한 방법과 다른 하나는 ‘-은, -을, -는, -은, -더-은’과 같은 관형화 어미에 의한 방법이 그것이다. 이 가운데 여기서 다루고자 하는 선어말어미 `-었-` 역시 연구자에 따라 시제․상․서법의 세 범주 가운데 어느 것이 중심의미인가에 대한 논의가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다. 최현배(1937)가 지난적(과거)과 이적끝남(현재완료)의 기능형태로 파악하여 과거시제성과 완료상을 지닌 것으로 보았듯이 과거시제 형태인가 아니면 완료상 형태인가의 문제가 있어왔으며, 남기심(1975)은 완료상의 형태로만 보았고, 오직 서법적으로 보는 허웅(1975,1987)처럼 이 형태를 문장내용의 사태가 완결, 종료되었음을 인식하는 서법형태로 보아 완결법의 범주로 보는 견해도 있다. |
|
|
|
|
|
고영근(1997), 『개정판 표준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권재일(1998), 『한국어 문법사』, 박이정.
남기심․고영근(1993), 『개정판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이재성(2001), 『한국어의 시제와 상』, 국학자료원.
한현종(1990), “현대국어의 시제체계 수립과 그 제약조건”,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정유진(1998), “근대국어의 시제”, 『근대국어 문법의 이해』, 홍종선 엮음, 박이정.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