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미래시제의 형태와 기능에 대한 역사적 고찰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
|
|
1. 미래시제에 대한 논의
2. 후기 중세국어(15세기)에서 미래시제: -리-
2.1. -리-의 쓰임
2.1.1 의도
2.1.2 추정
2.1.3. 기타
3. 근대국어에서 미래시제: ‘-리-’, ‘-ㄹ 것이-’, ‘-겟-’
3.1. ‘-리-’의 쓰임
3.2. ‘-ㄹ 것이-’의 쓰임
3.3 ‘-겟-’의 쓰임
4. 현대국어에서 미래시제: -리-, -(으)ㄹ 것-. -겠-
4.1. ‘-겠-’의 쓰임
4.1.의미 기능
4.1.1.의도
4.1.2.추정
4.1.3.그 밖의 쓰임
4.2. ‘-ㄹ 것이-’와의 차이(현장성)
5. 맺음말
6. 참고문헌 |
|
|
|
1. 미래시제에 대한 논의
시간과 관련 있는 범주들에는 시제, 서법, 상이 포함된다. 국어에서 이 세 범주의 실현은 형태소 면에서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기 때문에 동일한 형태소가 때로는 서법범주로, 때로는 시제나 상의 범주로 설정되고 있어 무척 혼란스런 상황이다. 특 히, 미래 시제 설정이 논란거리인데 과거 대 비과거의 이분대립으로 파악해 ‘-겠-’를 서법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듯하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논의의 방향을 일원화하기 위해 과거 현재, 미래라는 화자들의 기본적인 세계 인식 틀을 중시하여 미래시제를 설정하고, 한동완(1991)이 도입한 인식시의 개념을 적극 이용 하여 ‘-겠-’ 역시 미래시제 선어말어미로 본다는 전제하에 시대별 미래시제의 형태와 기능을 살펴보고자 한다(이병기, 1997 참고)
2. 후기 중세국어(15세기)에서 미래시제: -리-
이기문 (1998)은 후기중세국어 미래시제 선어말 어미로 ‘-리-’를 상정 하였다. 형태 면에서는 ‘-리-’ 는 기원적으로 동명사 어미 ‘-ㄹ’과 계사 ‘이-’의 결합으로 보는데, 뒤에 오는 ‘-더-, -거-’는 ‘-러-, -어-’가 된다고 하였다. (1)의 나), 다)는 현대국어의 -겠더-와 별반 차이가 없다. ‘-리러-’는 미래미완, -리어-는 미래완료 동작을 추측할 때 사용한 것으로 본 것이다.
(1) 가. 다 이 피 사 외에 시리라(월인석보 1.8).
나. 功德이 이러 다 부톄 외리러라(석보상절 19.34)
다. 正覺 나래 마조 보리어다(월인석보 8.87)
라. 마 命終 사 善惡 묻디 말오(월인석보 21.125) |
|
|
|
|
|
고영근(1997), 『표준중세 국어문법론』, 개정판, 집문당.
김상대(2001), 『국어문법의 대안적 접근』, 국학자료원.
남기심․고영근(1993), 『표준국어문법론』, 개정판, 탑출판사.
이기문(1998), 『국어사개설』, 신정판, 태학사.
이병기(1997), 「미래시제 형태의 통시적 연구 -리, -ㄹ 것이, -겠-을 중심으로」, 서울대 석사논문.
정유진(1998), “근대국어의 시제”, 『 근대국어문법의 이해』, 홍종선 엮음, 도서출판 박이정.
조세용(1994), 『중세 국어문법론 -15세기 국어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출판부.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