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세의무의 확정
리포트 > 법학
납세의무의 확정
한글
2012.02.17
2페이지
1. 납세의무의 확정.hwp
2. 납세의무의 확정.pdf
납세의무의 확정
납세의무의 확정

1. 의의

‘납세의무의 확정’이란 이미 성립한 납세의무에 대하여 과세요건사실을 파악하고 세법을 적용하여 과세표준과 세액을 계산하는 등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절차이다.
과세요건의 충족에 의해 납세의무가 성립하면 비로소 납세의무가 객관적으로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이 단계의 납세의무는 단지 추상적인 존재일 뿐이다. 따라서 이에 관하여는 아직 국가가 징수권을 행사할 수 없고 납세의무자는 이를 납부할 수 없다. 이러한 추상적 납세의무에 관하여 그 과세요건의 충족여부 및 내용을 확인하는 이른바 ‘확정’이 이루어짐으로써 비로소 납세의무는 구체적인 것으로 전환되며 이행될 수 있는 조세채무로 되는 것이다.
따라서 납세의무의 확정은 납세의무를 새로인 창설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성립하여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납세의무를 사후적으로 확인하는 절차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과세권자 뿐 아니라 납세의무자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확정의 방식을 살펴보면 다음과같다.

2. 원칙:절차에 의한 확정

가. 정부부과제도
....
[납세의무] 과세요건, 납세의무의 성립과 소멸 국세기본법상 납세의무의 성립
납세의무 성립 확정 소멸 전반의 법적 검토 기초세제의 이해
[소득세] 소득세의 개요, 소득의 종류, 종합소.. 국세부과의 원칙 검토
ceo가 알아야 하는 세무상식 조세법상 국세부과 원칙
납세의 의무 납세의무 승계와 연대납세의무
국세기본법상 연대납세의무 납세의무의 승계
국세기본법상 제2차 납세의무 납세불평등의 개념, 유형, 원인, 한국의 납세불..
 
[법학] 전세권
범죄자 얼굴공개 찬성
민사소송법상 당사자의 확정에..
민사소송법상 당사자적격에 대..
민사소송에서 성명모용소송의 ..
조합 활동과 노무 지휘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