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상적 사회주의에 대한 연구
1. 공상적 사회주의의 이론적 전제
공상적 사회주의가 자신의 철학설의 기초로 삼고 있었던 것은 베이컨, 데카르트, 로크에서 온 유물론적 전통, 특히 자연과학의 성과, 그리고 맑스가 지적했던 유물론의 사회주의적 경향이었다. 프랑스 유물론자나 계몽사상가가 18세기에 만들어 놓은 사상의 무기고 속에는 그들의 의지와 관계 없이, 한층 광범한 사회적 요구에도 유용한 무기가 만들어지고 있었다. 18세기 프랑스 유물론에는 19세기 공상적 사회주의 및 공산주의의 사상적 원천이 들어 있으며, 루소와 기타 프랑스 계몽사상가에 의한 정치적 평등사상의 선언 속에는 사회적 평등의 요구가 이미 담겨져 있었다. 인간과 그의 성격은 환경교육의 소산이라고 말한 로크의 문제의식은 프랑스 유물론에 의해서 발전되었으며 공상적 사회주의 사상을 준비하는 데 있어 특별한 의미를 지녔다.
그러나 프랑스 유물론자들은 사회현상에 대한 해석에 있어서 결정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프랑스 유물론의 인식론은 사실상 전통적인 문제들을 자연과학적인 설명, 특히 생물학적인 설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한 것이었다. 그들이 내세운 인간의 인식과정에 대한 설명이 ‘인식에 있어서의 정신의 수동성’으로 특징지울 수 있는 것은 여기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즉 프랑스 유물론의 인식론적 한계는, 이들이 아직 인식을 ‘사회적 실천’이라는 관점에서 해명하고 있지 못하다는 사실과 관련을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자연에서 출발하지만 때로는 자연을 넘어서고 자연과 대립하기도 하는 인간의 능동성은 개체의 생물학적인 과정이 아니라 사회적 실천 과정을 통해서만 생겨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공상적 사회주의자들도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지는 못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