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알뛰세의 이론적 반휴머니즘과 주체
|
|
|
|
알뛰세의 이론적 반휴머니즘과 주체
1. 이론적 반휴머니즘에 대한 비판
알뛰세는 마르크스의 자본에 대한 분석은 탈인간화된, 인간성이 부재한 노동자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인간으로부터가 아니라 사회의 경제적으로 쭈어진 시기”로부터 시작한다고 본다. 사회구성체를 전반적으로 구조지우는 생산관계를 강조하는 자본에서 마르크스는 개인들을 “경제적 범주들의 인격화, 특수한 계급관계와 이해의 구현”으로 다룬다. 알뛰세는 마르크스의 과학적인 방법은 이처럼 이론적 휴머니즘에 반대한다고 논증한다.
물론 알뛰세도 마르크스가 생상과정에 참여하는 인간의 능동적인 측면을 사상했다고 보지는 않는다. 다만 생산과정에서 개인의 능동적인 측면을 사상했다고 보지는 않는다. 다만 생산과정 속에서 개인의 구체적인 활동과 개성을 사상하는 자본주의적인 관계의 특수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개인을 이론적인 환원을 통해서 익명의 교환가능한 대상으로 다루어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왜 마르크스가 인간들을 이러한 경우에 생산관계에 의해서 결정되는 관계의 “수행자 supports”, 생산과정에서 “기능의 담지자 bearer”로만 간주했는 가를 해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것은 그가 구체적인 삶 속에서의 인간들을 단순한 기능의 담지자로 환원시키기 때문이 전혀 아니다. 그는 그들을 있는 그대로 고려했다. 왜냐하면, 자본주의적 생산관계가 그들을 하부구조 속에서, 생산 속에서, 따라서 착취 속에서의 이러한 단순한 기능으로 환원시키기 때문이다. ...(중략) 만일 여러분이 프롤레타리아들이나 자본가들의 구체적인 개인적 결정들, 즉 그들의 자유나 그들의 개성을 이러한 이론적 “환원”(épochè, reduction)에 종속시키지 않는다면, 여러분은 개인들을 복종시키는 실천적 “환원”들에 대해서 아무것도 이해할 수 없게 된다.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