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과학 - 간척사업에 대해서
리포트 > 자연과학
환경과학 - 간척사업에 대해서
한글
2013.04.03
3페이지
1. 환경과학 - 간척사업에 대해서.hwp
2. 환경과학 - 간척사업에 대해서.pdf
환경과학 - 간척사업에 대해서
♣ 간척사업의 개념 : 바다(갯벌)를 메꾸어 육지로 만드는 것
일반적으로 조수 간만의 차이가 많이 나는 우리나라의 서해안 지방에서 많이 이루어진다.
간척사업의 이점은 국토를 넓힐수 있다는 것이고, 그렇게 넓힌 땅은 공장지대, 주택지대, 경작지대로 이용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간척사업이 이루어진 곳은 서산의 AB지구 간척사업이 있는데 이는 지금 논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새만금 간척사업은 1991년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도 하고 있는데, 이를 둘러싼 분쟁이 많다.

♣ 간척의 역사
간척의 역사는 쌀농사와 같이 했을 것으로 보이는데, 현재 우리나라 논의 많은 부분이 해성충적토(海成沖積土)로 구성된 것은 과거 간척사업으로 조성된 것임을 추측케 한다. 쌀 농사의 특성상 편편한 지형과 물이 필요하므로 하구의 염습지를 조금씩 매립하여 논으로 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문헌에 나오는 것으로는 고려 고종 35년(1248) 청천강 하구의 화도에 대규모 간척을 한 것이 최초이며 조선시대에는 기록이 많이 남아있다. 조선 초기까지만 해도 강화도의 마니산은 독립된 섬이었으나 가릉포언(1665년)과 선두언(1706년)을 막아 강화도에 연결된 것이다. 일제시대에는 옥구간척지 등 178지구에 총 40,877ha를 간척한 기록이 남아있다. 해방 후에는 계화도, 남양 등 1,617지구에 74,691ha를 개발하여 간척사업이 본격적으로 시행되기 시작한 ‘60년 이후 연평균 2,018ha를 개발했다. 그러나 이렇게 개발된 농지는 산업화로 인하여 공장부지와 도시용지 등으로 최근 매년 약26,000ha씩 줄어드는 추세이다. 이런 농지 감소를 간척을 통하여 해결하려했던 것은 일본과 화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일본은 간석지 중에서 총 26만7천ha를 간척하고 현재 간석지는 6만3천ha밖에 남지 않은 상태에서(管野徹,1997) 간척사업을 계속하고 있으며, 화란은 전 국토의 30% 정도가 평균해면보다 낮다.

♣ 간척사업에 관한 찬․반론
(1) 긍정적인 의견
....
새만금간척사업 새만금간척사업
[해양과 환경] 간척사업 새만금,새만금종합개발,새만금사업,수질오염,새..
환경과 인간 _ 새만금 사업에 대하여 (청계천)청계천 복원공사
새만금 간척사업과 시민단체에 대한 나의소감과.. 새만금
새만금,새만금종합개발,새만금사업,수질오염,새.. 해양부문 환경영향평가제도의 개선방안
시사경제학-LH 부실공사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에서의 갯벌 간척과 매립
갯벌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 문화콘텐츠에서 기획의 역할 -전통문화에서 문..
 
실험보고서 - MBL을 이용한 마..
[솔루션] 원성필 열역학 2009..
열전대 실험
[생화학실험] 단백질 정량 분..
일반물리학 실험 - 비탈면에서..
[A+ 레포트] 리처드 도킨스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