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무상보육정책
리포트 > 교육학
아동무상보육정책
한글
2012.03.22
17페이지
1. 아동무상보육정책.hwp
2. 아동무상보육정책.pdf
아동무상보육정책
아동 무상 보육 정책

Ⅰ. 서론

1.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정부가 내년 3월부터 모든 만 5세 어린이의 교육과 보육을 국가가 책임지는 ‘만 5세 공통과정’을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네티즌들의 반응은 “영유아기는 최종 지능의 80%가 발달되는 등 중요한 시기” “늦었지만 이제라도 다행”이라는 긍정론과 “이 정책이 현재 시급한 정책인가” “고소득층에게도 유치원비를 지원하는 것은 과잉복지”라는 부정론으로 엇갈렸다. (2011.5.2 중앙일보)
‘만 5세 공통과정’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으로 이원화돼 있는 만 5세 아동에 대한 교육보육과정이 통합 운영된다. 또 소득 기준 전체 70% 가정에만 지원됐던 만 5세 어린이에 대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보육비가 소득과 상관없이 모두에게 지원된다. 현재 월 17만 7000원 수준인 지원금도 2012년 20만원, 2014년 24만원, 2016년 30만원으로 높아진다. 이번 정책은 1997년 정부가 초중등교육법과 영유아보육법에 만5세 무상교육 과 만5세 무상보육 을 명문화한 뒤 15년 만에 이뤄진 조치다. 정부는 이번 정책으로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의 원생 수가 늘어나 사실상 만 5세 의무교육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 지방선거 때는 무상급식이 이슈화 되어 그 대립이 극도로 분명하여 아직도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만5세아 무상보육정책은 현실화되고 있다.
2011 전국 민간보육인대회 참석한 안상수 한나라당 대표는 무상보육정책에 관하여 보육은 국가의 책임이라는 게 기본 입장이며, 국가적 재앙이 될 수도 있는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보육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이 시급하다 라고 하였으며, 이어 강제적으로 무상보육을 실시해 보육비용에 대한 걱정 없이 살 수 있는 나라를 만들어 나갈 것 이라고 덧붙였다.(2011.04.16 매일경제)
....
사회문제 - 무상보육정책에 관해서 [보육학개론] 0-2세 무상보육정책의 문제점, 각..
우리나라 아동복지정책 중 무상보육과 아동수당.. 아동_무상_교육_정책
(보육정책)우리나라 보육정책의 종류와 역할 [무상보육제도] 무상보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무상보육제도] 무상보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2004년 전면 개정된 [영유아보육법]의 주요 특..
아동복지 토론-무상보육 서비스에 대한 찬반의견 우리나라 무상급식 및 무상보육에 대해 본인의 ..
지방재정과 무상복지와의 관계 보육학개론 - 무상교육[0-2세 무상보육정책에 ..
국내및외국의보육현황과개선방안 무상보육에 대한 나의 생각 견해 입장(반대)
 
한부모가족 문제 및 해결방안
아동문학작품 5개발달영역 통..
그림책을 통한 유아의 언어발..
우리나라 보육정책의 문제점
평생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만1세 1학기 영아발달평가 11명
나의 방어기제
학교폭력 청소년의 특성과 학..
만4세 1년 평가제 발달평가 및..
2022년도 만1세 1학기 발달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