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의이해] 한민족의 역사를 왜곡한 세가지 해독
리포트 > 사회과학
[한국사의이해] 한민족의 역사를 왜곡한 세가지 해독
한글
2012.05.09
10페이지
1. [한국사의이해] 한민족의 역사를 왜곡한 세..
2. [한국사의이해] 한민족의 역사를 왜곡한 세..
[한국사의이해] 한민족의 역사를 왜곡한 세가지 해독
목 차

Ⅰ. 서문

Ⅱ. 한민족의 역사를 왜곡한
세 가지 해독

1. 중독(中毒) _ 사대주의사관
2. 왜독(倭毒) _ 식민주의사관
3. 양독(洋毒) _ 실증주의사관

Ⅲ. 끝으로

*참고문헌 및 사이트

Ⅰ. 서문

1999년, 전국의 초등학교 수백여 곳에 세워진 단군상이 하루아침에 여기저기에서 목이 잘린 채 발견 되었다. 불과 수년 전 전국의 초등학교에서 있었던 단군상 훼손사건은 우리 사회의 역사인식을 보여주는 매우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10여 년 전의 여론조사에 의하면, 단군신화를 근거 있는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이는 사람이 32%였다. 그렇다면 지금은 과연 얼마나 달라져 있을까.

뿌리를 알지 못하고 역사의식을 잃어버리면 그 나라의 미래를 기약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10월 3일 개천절을 국경일로 지정하고 있으면서도 국조 단군의 역사성을 확신하지 못하는 나라, 우리 사회의 역사 인식이 이렇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초대 문교부장관을 지낸 안호상 박사는 10여 년 전에 다음과 같이 말한 바 있다. 지식인들이 중독(중국의 해독)과 왜독(일본의 해독)과 양독(서양의 해독) 등 3독에 빠져 있으며, 이 3독을 치유하려면 특히 식민사관에 물든 역사학자들이 반성하고, 민족 주체성에 입각해 바른 역사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민족사학자들은 이 삼독의 피해에 대해 대동소이하게 얘기하고 있다. 그렇다면 소위 중독과 왜독과 양독이란 구체적으로 무엇일까 우리 민족 역사의 뿌리를 잃어버리게 한 그 사례를 찾아본다.

Ⅱ. 한민족의 역사를 왜곡한 세 가지 해독

1. 중독(中毒) _ 사대주의사관

....
한국사의 올바른 이해 외세로 인해 왜곡된 한국사
한민족이여, 동북아시대를 준비하자 인사관리의 역사와 접근방법 그리고 인적자원관..
파이의 역사 독후감 현대 한국 그리스도교의 왜곡,그리스도교의한국..
고대와 고려시대의 구제제도 건강가정사 및 현장실습(역할, 자질, 직무, 건..
일본의 교과서왜곡과 중국의 역사왜곡(동북공정.. 중국의 동북 공정
일본 왜곡 교과서의 실상과 배경 아동복지 - 다문화 가정의 정의 및 어려움
[사회학] 스트레스와 웃음 다문화가정 아동의 유형(국제결혼가정의 아동, ..
 
사회복지의 관한 용어정리와 ..
자원봉사자의 인정과 보상방안
사회문제해결과사회복지정책
공공부조와 사회보험의 차이를..
전세사기 유형과 예방책 연구 ..
노인빈곤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