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사분류의 기준 및 현행 품사분류의 논쟁과 해결방안
리포트 > 인문/어학
품사분류의 기준 및 현행 품사분류의 논쟁과 해결방안
한글
2012.07.16
6페이지
1. 품사분류의 기준 및 현행 품사분류의 논쟁..
2. 품사분류의 기준 및 현행 품사분류의 논쟁..
품사분류의 기준 및 현행 품사분류의 논쟁과 해결방안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1. 서론

2. 품사분류의 기준

2. 1 형태(꼴, form)
2. 2 기능(구실, function)
2. 3 의미(뜻, meaning)

3. 현행 품사 분류의 논쟁과 해결방안

3. 1 대명사, 수사의 경우
3. 2 조사의 경우
3. 3 ‘ 있다, 없다’ 의 존재사 설정
3. 4 ‘ 이다’의 지정사 설정
3. 5 ‘ 그리고, 그러나’ 같은 접속부사의 접속사 설정

4. 결론

참고 문헌
1. 서론
‘하늘, 구름, 사람, 아름답다’등 우리는 일상 생활 속에서 수많은 단어들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단어들을 문법적 성질의 공통성에 따라 몇 갈래로 묶어 놓은 것을 품사(品詞)라고 한다. 주시경은 ‘품사’를 ‘기, 씨’라는 용어로 부르기도 했다.
단어를 보는 역대문법가들의 관점과 품사분류 기준의 차이로 인해, 국어의 품사는 1963년 공포된 학교문법통일안의 9품사 체계에서부터 적게는 5품사, 크게는 13품사까지 다양하게 분류되어 왔다.
여기에서는 일반적인 품사분류의 기준과 9품사 체계에서 현행 품사분류에 대한 논쟁을 살펴보고, 나아가 품사분류 논쟁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2. 품사분류의 기준
2. 1 형태(꼴, form)
형태는 단어의 형태적 특징, 즉 ‘단어의 꼴이 변화하느냐 변화하지 않느냐’하는 것을 말한다.

<중 략>

3. 4 ‘ 이다’의 지정사 설정
‘이것은 칠판이다’에서 ‘칠판이다’의 ‘이다’는 체언으로 하여금 주어의 내용을 지칭 ?서술하는 기능을 갖도록 해주는 서술격조사이다. 이런 점을 중시하여 용언의 하나로 보는 ‘지정사’라고 부르는 일도 있었다. ‘이다’는 다른 조사와 달리 활용을 한다는 특수성을 지니고 있어 품사 설정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이다, 아니다, 같다’를 형용사에 포함시키는 이도 있고, ‘이다’의 ‘-이-’가 용언이 아닌 성분을 용언으로 만들어 주는 접미사라고 보는 이도 있다. 그리고 ‘이다’의 ‘-이-’를 매개 모음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6) ‘이다’는 이광정의 지적대로 체언의 일부로 볼 것인가, 아니면 용언의 일부로 볼 것인가의 문제로 정리될 수 있다.
현행 학교문법에서는 ‘이다’의 비자립적 성격을 고려하여 조사로 인정하고, 문장에서 체언과 결합하여 서술어의 역할을 하므로 격조사의 한 갈래로 간주한다. ‘이다’는 그 특수성으로 인해 다양한 의견이 제기되고 있지만, ‘이다’ 하나를 독립된 품사로 간주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는 듯하다.
문법, 학교문법, 품사, 형태론, 동사
교육부(2002), 『고등학교 문법』, 두산.
김동현(1998), 「국어품사분류연구」, 평택대학교 논문집 제10집 제1호.
남기심 ․고영근(1993), 『표준국어문법론(개정판)』, 탑출판사.
서정수(1996), 『현대 한국어 문법 연구의 개관』, 한국문화사.
이관규(2002), 『학교문법론(개정판)』, 월인.
이광정(1997), 「학교문법에서의 품사분류」,『국어교육(No.94)』,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이익섭 ․채완(1999),『국어문법론강의』, 학연사.
품사의정의.품사의분류기준,품사에대한문제의식 조사의 분류와 서술격 조사 ‘-이다’의 문제
국문학 - 단어의 구성과 유형 국어 문법 <형태론>
국어 형태론 연구의 흐름과 과제 1. 국가유공자예우법상의 상이등급판정기준과 ..
사형제도에_대한_찬반논쟁과_연쇄살인사건의_해.. 대명사 특성
[비정규직 해결방안연구 레포트] 비정규직 개념.. 가사노동의 개념과 논쟁, 가사노동시간과 가치..
신체장해 평가 기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학교체벌 찬반논쟁,학교체벌의 현황,체벌에 관..
지적장애 발생원인과 분류 / 지적장애 진단기준.. 사회복지실천현장의 개념과 분류 기준
 
인간성격이론에 따른 자기 분..
영어 영문 - 흑인 영어[black ..
17-19세기 동아시아 삼국의 사..
정조의정치
국화와칼(베네딕트)
국화와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