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부사절과 종속절의 관계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
|
|
1. 머리말
2. 부사절과 종속절의 개념
1) 부사절
2) 종속절
3. 종속절과 부사절의 관계
1) 종속절을 부사절로 보지 않는 경우
2) 종속절을 부사절로 보는 경우
4. 현행 학교 문법의 문장 분류
5. 맺음말
〈참고 문헌〉 |
|
|
|
1. 머리말
그 동안 학교 문법에서는 종래의 종속 문장의 종속절을 부사절로 설정할 것인가의 여부가 문제점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 문제는 “ 종속절은 주절과 경계가 뚜렷한 반면 부사절은 모문(母文)의 한가운데에 파고 들어가 있는 편이라고 하여 종속절과 부사절이 따로 있는 것으로 기술하였던 것을 새 판(이익섭, 2000)에서는 종래 종속절이라 해 오던 것이 실은 내포절이며 동시에 부사절인 것으로 바로 잡고, 늘 찜찜하던 짐을 하나 벗은 듯한 느낌” 이라는 심경을 이익섭님이 토로할 정도로 전통 문법에서부터 야기된 것으로써 많은 학자들의 관심이기도 하였다.
<중략>
현행 학교 문법에 따르면, 겹문장은 안은 문장과 이어진 문장으로 나누어진다. 안은 문장은 (11ㄱ)에서 밑줄친 것과 같은 하나의 홑문장을 안긴 문장으로 갖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어진 문장에 대해서는 (11ㄴ, ㄷ, ㄹ, ㅁ)에서처럼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과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을 모두 포함한다고 하는 방안과, (11ㅁ)에서처럼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만을 인정하는 방안으로 나누어진다. 전자 입장을 반영한 체계가 (가)이고, 후자 입장을 반영한 체계가 (나)이다.
한편, 제7차 문법 교과서에서는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의 선행절(종속절)을 부사절로 보는 입장도 인정하고 있다. 그렇게 되면 (나)에서처럼 이어진 문장에는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 하나만 남게 되는 결과가 되는 것이다. |
|
|
|
|
|
권경희(1997), 동남어문논집, 7호.
권경희(1997), 어미 ‘-아/어, -게, -지, -고’의 문법적 처리, 동아대학교, 언어와 언어교육 제12집.
김선희(1999), 부사절의 설정 문제와 범위, 목원어문학.
남기심․고영근(19890, 표준 국어문법론, 탑출판사.
유현경(1985), 접속문의 통사적 특질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이관규(2002), 개정판 학교문법론, 월인.
이익섭(2000), 국어학 개설, 학연사.
이익섭(2003), 국어 부사절의 성립, 태학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