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의 모던 Modern, 동아시아 모던, 일본의 번역주의, 만들어진 모던, 한국의 근대, 근대성 비판, 근대, 근대성을 넘어, 특징, 현황, 관리, 시사점, 분석
리포트 > 사회과학
서구의 모던 Modern, 동아시아 모던, 일본의 번역주의, ..
한글
2012.10.25
13페이지
1. 서구의 모던 Modern, 동아시아 모던, 일본..
2. 서구의 모던 Modern, 동아시아 모던, 일본..
서구의 모던 Modern, 동아시아 모던, 일본의 번역주의, 만들어진 모던, 한국의 근대, 근대성 비판, 근대, 근대성을 넘어, 특징, 현황, 관리, 시사점, 분석
Report
( 서구의 모던 Modern, 동아시아 모던, 일본의 번역주의, 만들어진 모던, 한국의 근대, 근대성 비판, 근대, 근대성을 넘어, 특징, 현황, 관리, 시사점, 분석 )

목 차

1. 서구의 modern

2. 동아시아에서의 modern

3. 일본의 번역주의

4. 만들어진 modern

5. 한국의 근대, 근대성 비판

6. 근대, 근대성을 넘어

서구의 modern

박지향1)1) 서울대 서양사학과 교수, 철학박사
에 따르면 어원상 modern은 ancient에 대립되는 의미로서,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에 이르러 오래된 것에 대립되는 새로운 이라는 개념으로 대두하였고 근대성에 대한 인식은 18세기 말에 이르러 절정에 이르렀다고 한다.2)2) 박지향, 「일그러진 근대」, 푸른역사, 2003, 27-28쪽
계몽주의 시대에 시간에 대한 질적 새로움이라는 개념이 강화되었고 그 후 산업혁명과 프랑스혁명을 거치면서 과거와의 단절, 진보, 발전, 혁신, 그리고 혁명 등의 개념이 새로운 시간성의 개념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따라서 근대는 이제 단순히 고대나 중세에 대립되는 개념이 아니라 전통 에 대립되는 개념, 즉 전통의 탈피 를 의미하게 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근대성은 새로운 시대에 대한 인식 이며, 여기서 새로움이란 자신들의 시대가 지나간 시간과는 전적으로 다른, 그리고 더 나은 것이라는 의미를 갖는다고 한다. 근대성은 따라서 질적인 초월을 포함하는 역사의식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이에 반해 이정덕3)3) 전북대 고고문화인류학과 교수, 인류학박사
....
영문학 -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에 관.. 청소년문화의 포스트모던적 관점 분석
문학 - 모더니즘 문예사조 동아시아 담론과 민족주의
전염병과인류의역사 일한근대성비교
문화제국주의의 이해 영화 ‘모던타임즈(Modern Times)’ 감상 후 감상문
한국 가부장제의 특징 역사, 조선의 가부장제, .. Postmodernism에 관하여
양계초와 유길준의 근대화, 근대 사상, 변화, .. 식민지 수탈론, 역사, 근대화론, 농업부문의 식..
동아시아 문예 문화론 -『태백산맥』,『붉은 수.. 1930年代 韓國 現代詩論의 近代性 硏究
 
종군위안부문제에대한
비영리조직에서 후원자개발과 ..
긴급재난지원금 정책집행의 효..
노인빈곤문제
사회복지의 관한 용어정리와 ..
자원봉사자의 인정과 보상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