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교수님께 여러번 자문을 구하고 조모임을 통해 수정 보완하여 직접 작성한 레포트 입니다. 잘되어서 뿌듯하고 학점도 잘 받았습니다.
|
|
|
|
구조적가족치료, 가족문제해결, 가족의 하위체계, 경계와 투과성, 가족의 적응, 구조적 가족치료, 구조적가족치료 사례, 가족치료 사례, 가족치료 개입사례 |
|
|
|
Ⅰ. 구조적 가족치료
가족은 가족구성원들 사이에 의사거래를 규제하는 어떤 일정한 패턴에 의해 서로를 대한다. 이 패턴을 구조라하고, 이 구조가 잘못 되었을 때 문제가 발생한다고 보며, 이것을 진단하고 시정해 주는 것을 구조적 가족치료라 한다. 즉, 구조적 가족치료의 준거 틀은 사회적 환경 속에 있는 개인에 접근하는 이론이고 기술이다.
1. 이론발달배경과 발달과정
1) 발달배경
구조적 가족치료는 1960년대에 Philadelphia를 중심으로 발전되었고 S. Minuchin이 주창자이다. 이 이론은 기존의 개인의 문제를 정신 내적 요인에 중점을 두는 것과는 달리 가족을 체계로 보고 개인의 문제를 체계와의 관련성에 두고 가족의 구조를 변화시킴으로써 체계내의 개인의 위치가 변경되며 그의 경험이 변화되어 결국엔 개인에게 변화를 초래한다고 보았다.
Minuchin은 아동 정신과 의사로 1950년대 말에 아동시설에서 가족 면담을 시작하였다. 당시 가족치료를 받으러오는 가족들에게는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부족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는 굳어진 습관에서 벗어나고 새로운 구조를 만들 수 있는 기회를 만드는 치료적 접근법을 만드는데 관심을 두었다. 또한 중산층 가족을 대상으로 했던 가족치료방법이 대화에 치중한 지적 접근으로 빈곤 가족에게 적당하지 않다는 사실을 깨닫고 가난한 가족들이 갖고 있는 다양한 문제에 보다 적극적이고 지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들과 기술을 발달시켰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구조적 가족치료방법은 1970년대에 가족치료 분야에서 크게 주목받았다.
2) 가족문제에 대한 관점
구조적 가족치료에서 가족은 가족 내와 밖의 상황 속에서 움직이며, 세 개의 기본전제를 가지고 있다.
첫째, 가족구조는 변화하고 있는 개방된 사회문화적 체계이다.
둘째, 가족은 재구조화를 필요로 하는 성공적인 단계를 거쳐 발달한다.
셋째, 가족은 가족성원들의 사회 심리적 성장과정을 유지하고 좀 더 발전시키는 방 법으로 환경에 적응한다. |
|
|
|
|
|
엄명용, 노충래, 김용석, 2008.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 서울 : 학지사.
김유숙. 2000. “구조적 가족치료이론의 한국적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 8,1: 113-130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송성자, 2002,『가족과 가족치료, 법문사
송성자, 1995, 가족관계와 가족치료, 홍익재
류종훈, 2004, 쉽게 쓴 가족치료와 가정상담, 동인
이상복, 2007, 통합절충 가족치료, 강남대학교 출판부
정문자 2003, 사티어 경험적 가족치료, 학지사
정문좌 외 공저, 2007, 가족치료의 이해, 학지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