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홍계월전> 연구- 작품에 나타난 여성의식과 교육적 활용의 문제->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
|
|
Ⅰ. 들어가며
Ⅱ. 여성영웅소설의 유형을 통해 본 『홍계월전』
Ⅲ. 서사구조의 특징
1. 순차적 서사 전개 과정
2. 여화위남(女化爲男)
3. 여성우위의 갈등해결
Ⅳ. 소설사적 의의와 한계
Ⅴ. 교육적 활용 방안
Ⅵ. 맺음말 |
|
|
|
‘三從之道’, ‘七去之惡’, ‘여자가 울면 집안이 망한다’
흘러간 옛날 유행가 가사의 한 토막 같지만 아직도 사람들의 무의식 속에 남아, 性에 관련된 사회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편견의 고개를 내미는 것이 현실이다.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여성의 사회적 진출도 많아졌다 하나 아직까지 우리사회에서의 여성들은 여전히 남성에 비해 사회 참여율이 저조하고, 직장에서는 캐리어 우먼으로서 역할을, 가정에서는 현모양처(賢母良妻)의 도리를 강요받고 있다.
조선시대 남성위주의 가부장적 사회에서 여성은 자아가 없고, 자아가 있어서도 안 되었으며, 입신양명은 오로지 남자의 몫이었다. 그러나 왜란과 호란을 통해 봉건체제가 흔들리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는 문학장르에서는 민족수난의 문제와 봉건질서의 모순을 여실하게 묘사한 작품들이 잇따라 출현하였는데 18,19 세기 소설은 이 시기에 나타난 반봉건의 근대성을 보여 준 가장 뚜렷하고 의미 있는 문학양식이었다. 또한 세책가의 등장으로 그러한 소설의 독자가 늘어나고 여성과 중인계층, 하층민에까지 독자층이 확대되었는데 특히 여성들이 우세하여 이덕무는 「사소절」에서 여자가 지켜야 할 도리의 하나로 소설을 탐독하지 말 것을 들었다고 한다. 19세기에 나타난 여성영웅소설은 특히 가부장제로 인해 억압받던 여성의 욕망과 갈등을 형상화하고 있기 때문에 여성독자에게 많은 인기를 누렸다.
여기에서는 여성이 영웅으로 등장하는 영웅소설 중에서 여주인공의 모습이 적극적이고 진취적으로 형상화되어 반봉건적 여성의식이 돋보이는 『홍계월전』에 대해 작품의 서사구조를 파악해봄으로써 작품의 소설사적 의의를 유추해보고, 오늘날 교육적인 측면에서 어떻게 수용, 활용할 것인지 생각해보았다.
Ⅱ. 여성영웅소설의 유형을 통해 본 『홍계월전』
여성영웅소설은 작자층과 창작시기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대체로 동일한 내용과 구조를 유형으로 묶어 분류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유형분류 기준이 연구자가 이미 상정한 결론을 기준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분류기준의 객관성이 떨어지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자의적인 유형분류에 그치고 있다. |
|
|
|
|
|
김기동, 전규태 편저, 『한국고전문학100 : 토끼전, 장끼전, 김진옥전, 홍계월전』, 서문당, 1993.
김수연, 「여성영웅소설의 서사형식과 사회적 의미,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1.
민찬, 「여성영웅소설의 출현과 후대적 변모」, 서울대 석사논문, 1986.
박경원,「홍계월전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91.
서대석,『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 이화여대 출판부, 2001.
양인실, 「한국고대여성영웅소설의 연구 : 이조여성의 사회활동면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대학원 논문집』, 제11집, 1980.
이광호, 「홍계월전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논문, 1994.
이인경, 「「홍계월전 연구」:갈등양상을 중심으로」, 『관악어문연구』, 제17집, 1992.
임성래, 『조선후기의 대중소설』, 태학사, 1995.
장효현, 「근대전환기 고전소설 수용의 역사성 : 활자본 고전소설의 성격과 그 수용의 역사적 의미」, 『고소설연구1』, 태학사, 1997.
정병헌, 이유경, 『한국의 여성영웅소설』, 태학사, 2000.
정연지, 『여성영웅소설의 갈등양상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9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 지식산업사, 1994.
, 『한국소설의 이해』, 지식산업사.
조은희, 「홍계월전에 나타난 여성의식」, 『우리말글』, Vol.22 No.1, 2001.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