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계소설〈 춘향전 〉연구
리포트 > 인문/어학
판소리계소설〈 춘향전 〉연구
한글
2013.10.23
10페이지
1. 고전소설연구(판소리계소설 춘향전).hwp
2. 고전소설연구(판소리계소설 춘향전).pdf
판소리계소설〈 춘향전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1. 서론

2.〈 춘향전〉연구사적 쟁점
1) ‘발생 및 기원’의 문제
2) ‘근원 설화’의 문제
3) ‘주제’의 문제
4) 작가의 문제

3.〈춘향전〉의 서사적 특징
1) 이본고
2)〈춘향전〉의 기본 서사 구조

4.〈춘향전〉의 구조적 특징
1) 극적 구조
2) 서술자 중개의 담론 구성
3) 장면 극대화의 원리
4) 다면적 인물의 형상화
5) 구성 내용의 불합리, 모순, 불통일성
6) 역동적 시간 구성

5. 문학사적의의 및 교육적 활용 방안

6. 결론

〈참고문헌〉
1. 서론

〈춘향전〉은 18세기에 생성된 판소리 「춘향가」에서 소설로 정착된 판소리계 소설이며 언제 누가 지었는지 작자는 알 수 없지만 광대가 판소리로 창을 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지어졌으리라는 것이 일반적이 견해이다.
영정조를 전후하여 귀족 주도의 문학에서 서민 주도의 문학으로 주도 되면서 가창을 위조로 하는 희곡적인 문학이 형성되기 시작했는데 바로 판소리이다. 그리고 판소리의 사설이 문자로 정착된 것이 곧 판소리계 소설이다. 판소리계 소설이란 판소리 광대가 공연하던 판소리 대본(창본)이 소설 독자층의 요구와 講談師, 貰冊家, 방각본업자의 상업적 목적과 맞물려 독자를 위해 전사되거나 서사 기록물로 인쇄된 것으로 민중의 발랄성과 진취성을 기반으로 한 민중의 공동작이다.

<중 략>

그리고 그러한 언어로 그려내고자 하는 대상이 당대의 가장 보편적 형상이라는 점이다. 춘향, 이도령의 인물묘사부분에서는 얼마든지 춘향을 새로 묘사 할 수 있으며 변사또 생일 잔치 부분에서 잔치의 성대함을 형상화 부분임을 간파하고 나름대로 다양한 사물을 제시하여 새로 쓰기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춘향전을 오늘날의 일상 문화의 문법으로 다시 쓰는 활동은 그 자체로서 표현 교육의 중요한 계기가 될 뿐만 아니라 〈춘향전〉에 대한 접근을 원활히 하는 하나의 교육적 처방이 될 것이다.

4) 놀이와 창조
판소리 사설이 민족어로서 정체성을 십분 발휘하는 대목은 언어유희에서이다. 판소리의 언어 유희는 단순한 즉흥적인 말장난의 수준을 넘어서서 인물의 성격을 확연히 나타내 주는 표지이기도 하고 연행적 긴장과 흥미를 드높이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십장가’ 대목은 가장 비장한 대목 중의 하나인데 언어유희가 등장하고 다양한 변이형이 있는데 이는 언어 유희가 새로운 의미 파생이라는 창조적 언어 활동이라는 것을 말한다.
오늘날의 일상적인 언어로 재창조 되는 십장가는 어떤 모습일까? 그 과정에서 우리말의 정체성을 확인하기도 할 것이며 새로운 의미를 생산하는 한 발상법을 체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춘향전, 판소리계소설, 국문학, 고전문학, 국어
김광순(2001), 『한국고소설사』, 국학자료원.
김동욱(1965), 『춘향전 연구』, 연세대 출판부.
김동욱(1965),『춘향전 연구』, 연세대 출판부.
김동욱(1965),『춘향전 연구』, 연세대학교출판부.
김병국(1995),『한국고전문학의 비평적 이해』,서울대학교출판부.132-133쪽 참조
김병국외 (1993), 『춘향전 어떻게 읽을까, 신영.
김윤식, 『김윤식 교수의 한국고전 특강』, 한국문학사.
김종철,「춘향전의 근원 설화」, 『춘향전 어떻게 읽을 것인가』.
류수열(2001), 『판소리와 매체언어의 교과학』, 역락,
박명희(1982), 「춘향전에 나타난 사랑의 구현 형태」, 『어화 논문집』5, 이대 한국어문학연구소.
박일용(1993), 「조선시대의 애정 소설」, 집문당.
설성경(1980), 「춘향전의 계통 연구」, 연세대박사학윈논문.
설성경(2001), 『춘향전의 비밀』,서울대학교출판부.
이구슬, 「전통과 비판」(1995) : 가다머와 하버마스의 해석학 논쟁, 새물결.
정노식(1940), 『조선창극사』, 조선일보사.
조동일(1970),「갈등에서 본 춘향전의 주제」, 『계명논충』6, 계명대학.
활패강(1981), 「춘향전-전달의 두 가지 국면」, 『조선왕조소설연구』, 단국대출판부.
황패강(1991),『조선왕조 소설연구』, 단국대학교출판부.
황혜진(1997), 「춘향전 텍스트의 서사변형 연구」,서울대학교대학원 논문, 38쪽 참조
판소리계소설 <춘향전> 연구 고전소설-춘향전
심청전(판소리계 소설) 연구 〈춘향전〉연구
춘향전 독후감 - 춘향전 줄거리 요약 및 인상깊.. 춘향전 줄거리 소개 및 춘향전에서 아쉬웠던 점..
민중소설로서의_심청전 고전소설강독
판소리계 소설(토끼전) 판소리계 소설(토끼전)
판소리계 소설연구 -<변강쇠가>- 판소리계 소설 연구- ‘흥부전’을 중심으로 -
판소리계 소설에 대하여- ‘흥부전’을 중심으로 - 유래와 해석을 중심으로 한 별주부전 토끼전 연구
 
노인과 바다 독후감 - 노인과 ..
위대한 개츠비 소고
인간성격이론에 따른 자기 분..
영어 영문 - 흑인 영어[black ..
17-19세기 동아시아 삼국의 사..
정조의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