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몽소설「조신」, 『구운몽』에 대한 고찰
리포트 > 인문/어학
환몽소설「조신」, 『구운몽』에 대한 고찰
한글
2013.12.24
7페이지
1. 환몽소설 조신 구운몽.hwp
2. 환몽소설 조신 구운몽.pdf
환몽소설「조신」, 『구운몽』에 대한 고찰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1. 서 론

2. 「調信」과 『九雲夢』
2. 1 「調信」이야기
2. 2 『九雲夢』

3. 문학사적 의의

4. 교육적 활용 방안

5. 결 론
1. 서 론
작자는 작품을 저작할 때 반영하고자 하는 사상, 감정을 가장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제재의 선택과 구성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법을 시도한다. 이러한 시도에 따라 幻夢小說도 등장하게 된다. 소설사에서 말하는 幻夢小說은 꿈의 특수성을 빌려 구성한 작품들을 총칭하는 것이 되므로 꿈을 소재로 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으나, 더욱 정확히 말하면 여기에서 꿈은 자면서 누구나 체험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환상적인 몽상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환상적인 몽상을 차용하여 구성한 작품이라 할지라도 幻夢小說의 모든 작품의 구성이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이러한 작품들이 소재가 같기 때문에 묶어서 논의해야 할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작품 구성상의 특징을 감안해서 이들 작품류들은 서로 분리해서 논의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우리나라 초기 몽유형 서사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調信」과 이 작품을 계승 발전시킨 『九雲夢』을 「元生夢遊錄」, 「대관재몽유록」, 「강도몽유록」과 같은 몽유록계 소설과는 분리하여 이들 작품의 유형적, 서사적 특징을 고찰해 보고 문학사적 의의를 세우며 나아가 교육현장에서 이들 작품의 활용방안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2. 「調信」과 『九雲夢』
2. 1 「調信」이야기
三國遺事의 낙산이대성 관음, 정취, 조신 항목에 수록된 「調信」이야기는 우리 나라 초기 몽유형 서사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그 내용은 의상, 원효, 범일, 조신이 주체가 되는 연속적인 구성으로 전개된다. 의상과 원효가 낙산에서 각각 신성스런 방법과 세속적인 방법으로 관음보살을 만나는 사건이 중심이 된다. 또 범일은 중국과 신라에서 각기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 정취보살을 만나 깨침을 얻고, 이어서 서술되는 조신은 현실의 여인과 관음보살의 화신으로 비유될 수 있는 꿈속의 연인을 만나 깨달음을 얻게 된다.
고전소설, 조신, 구운몽, 환몽소설, 문학
김만중, 『구운몽』, 삼중당, 1983
일연/이동환 역주, 『삼국유사(하)』, 삼중당, 1983
김병국, 「구운몽 저작 시기 변증」, 『한국학보』51집, 1988 여름
, 『서포 김만중의 생애와 문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사재동, 「구운몽 연구서설」, 『불교계 국문소설의 연구』, 중앙문화사
이강옥, 「구운몽과 육미당기에 나타난 세속적 삶의 두 모습과 그것의 극복방식」, 『고전문학연구』 별집 6, 한국고전문학회, 1997
, 「삼국유사의 세계관과 서술미학」, 국문학연구 제5호, 국문학회, 2001
, 「구운몽에 나타난 환생과 思念實現의 의미」, 『우리말글』 27집, 우리말글학회, 2003
차용주, 「환몽소설의 전개양상에 관한 고찰」, 『고소설사의 제 문제』, 집문당
정상진, 「구운몽,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설화 고소설 교육론』, 민속원, 2002.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2.국어 , 교육인적자원부, 1997
김윤식 외 4인, 고등학교 문학(하), (주)도서출판 디딤돌, 2002
조남현 외 4인, 고등학교 문학(하), (주)중앙교육진흥연구소, 2002
구운몽 연구 현황과 분석,구운몽 이본연구,구운.. 고전소설
구운몽에나타난환생과사념실현의의미 [구운몽 작품연구] 구운몽 작품분석과 줄거리,..
구운몽 작품해석과 특징연구 및 평가와 비평 구운몽의 구조와 그 중층적 의미
조신과 꿈 고전소설론
구운몽 작품연구 및 줄거리요약과 구운몽 한계.. 한국적 모더니즘 기수, 김기림
구운몽 고찰 고전소설론-춘향전,구운몽,조웅전,최현전
구운몽 구운몽
 
인간성격이론에 따른 자기 분..
영어 영문 - 흑인 영어[black ..
17-19세기 동아시아 삼국의 사..
정조의정치
국화와칼(베네딕트)
국화와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