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애정소설 연구 -숙향전, 숙영낭자전, 채봉감별곡을 중심으로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
|
|
1. 서론
2. 본론
2.1. 적강형 애정소설의 구조
2.1.1. 남녀 주인공의 적강과 성장
2.1.2. 남녀 주인공의 만남과 애정의 성립
2.1.3. 장애의 발생
2.1.4. 고난의 극복과 재회
2.1.5 남녀 주인공의 승천
2.2 일원적 단일 구조 유형
2.2.1. 남녀주인공의 만남과 애정의 성립
2.2.2. 장애의 발생과 극복
2.2.3. 재결합
2.2.4. 일원적 단일 구조 유형의 의미
3. 결론 |
|
|
|
애정소설은 학자에 따라 염정(艶情)소설, 정염소설, 연애소설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려왔다. 이렇게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는 건, 애정소설의 정의에 대한 규정 역시 한 가지가 아니라는 것을 뜻한다. 김태준이 특별한 개념 규정 없이 ‘염정소설’이란 명칭을 사용한 이래, 김기동은 ‘애정문제를 표현하고 애정관계의 비중을 중시한 것’으로 보고 조윤제는 ‘주로 남녀의 사랑과 그 생활을 묘사한 작품’으로 정주동은 ‘남녀간의 애정을 제1주제로 내세운 작품’으로 보았으며, 조동일은 애정의 문제를 긴요하게 다룬 것‘으로 애정소설의 개념을 규정하였다.
이런 여러 개념들은 의미상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다. 이들 개념의 공통점은 작품의 주제를 바탕으로 분류했고 주제가 모두 애정문제라는 것이다. 따라서 애정소설은 작품의 주제 면에서 볼 때, 남녀 주인공이 서로간의 믿음을 바탕으로 자신들에게 닥친 극복하기 힘든 난관을 뛰어넘어 사랑을 성취해 나가는 서사적 이야기라 할 수 있겠다.
애정소설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는 남녀간의 순수한 ‘애정’이다. 애정은 인간의 제일 기본적 욕구이며, 그런만큼 동서고금의 문학에 있어 가장 보편적인 주제로 형상화되어 왔다. 본고에서 다루게 될 세 편의 소설 또한 남녀간의 애정문제가 그 중심에 놓여 있다. 애정소설에서 최대의 관심사는 애정의 성취이다. 본고에서 다룰 세 작품에서 주인공들이 추구하는 애정은 남녀의 자유의지에 의한 선택과 혼인이다. 그리고 그로 인한 어려움을 스스로 해결해 나간다는 것이 주 내용이다.
이 소설들의 배경인 조선시대의 지배 이념은 성리학이었다. 당시의 성리학은 욕망이나 정욕의 분출을 금기시하여 인간 정감의 유출은 억제되고 감정의 순수성만을 강조하였다. 이런 조선사회에 변화가 보이기 시작하는 것은 임병양란을 거치면서이다. 조선사회는 두 전쟁을 통해 엄청난 경제적, 정신적, 사회적 충격을 겪는다. 이런 충격을 통해 백성들은 전통적 사고에 대해 회의하고 반성하며 의식의 자각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의식의 자각은 17세기에 이르면 인간의 자연스런 감정을 강조하게 되며, 이후 18세기로 넘어가면서 더욱 활발해져 남녀의 정욕 등 인간의 본능을 대변하는 작품들이 속출하게 된다. |
|
|
|
|
|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연구』 교학연구사, 1983.
조윤제 『한국문학사』 탐구당, 1979.
정주동 『고대소설론』 형설출판사, 1986.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권, 지식산업사, 1984.
박태상 『조선조애정소설연구』 태학사, 1996.
황윤실, “17세기 애정전기소설에 나타난 여성주체의 욕망발현 양상”, 한양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윤분희, “염정소설의 전개방식과 그 의미연구”, 숙명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8.
박하영, “조선조 적강형 애정소설의 서사구조 연구”,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