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카프 조직개편과 방향전환 논쟁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
|
|
1. 서론
2. 본론
1. 조명희의 「낙동강」에 관한 논쟁
2. 무산문예가의 창작적 태도 - 윤기정
3. 목적의식적 방향전환론의 한계와 의의
3. 결론
※ 참고문헌 |
|
|
|
2. 본론
1. 조명희의 「낙동강」에 관한 논쟁
목적의식적 방향전환론에 대해 활발히 이론투쟁이 전개되고 있을 때 그로부터 벗어나 작품비평에 치중하고 있던 김기진은 조명희의 소설 <낙동강> <낙동강>은 조명희의 작품으로 1927년 발표 시기부터 카프의 방향전환과 관련되어 독자의 관심을 끈 소설이다.
을 끌어들여 제 2기 작품론을 개진하였는데, 이것은 당시 주요한 쟁점이었던 목적의식 문제를 작품 내적인 문제로 끌어들인 것이다.
포석 조명희의 소설 「낙동강」을 놓고 이루어진 팔봉과 조중곤의 전혀 상반된 평가 속에서 과연 진정한 제2기적 작품, 즉 방향전환 이후의 작품이란 어떠해야 하는가의 문제와 더불어 어떻게 그 작품 활동을 지도해 나갈 것인가의 문제가 대두되었다. 먼저 팔봉은 「시감이편」(『조선지광』,1927년 8월)에서 「낙동강」에 대해 “이만큼 감격으로 가득찬 소설이 - 문학이 있었던가 … 이것은 현재 조선 - 1920년 이후 조선 대중의 거짓없는 인생기록” 이라고 격찬하고는 그것이 “제 2기에 선편을 던진”작품이라고 평가했다. 역사문제연구소 문학사연구모임, 『카프문학운동 연구』, 역사비평사, 1990. p.38.
또한 독자대중의 감정조직에 성공했으며, 각 인물에 상응한 성격과 풍모를 부여한 점에서 재래의 공상적 행방불명의 빈궁소설에서 벗어나 제 2기에 선편을 던진 작품이라 하였다.
이 글은, 박영희와의 내용·형식 논쟁이후 카프 운영의 주도권을 넘기고 난 김기진이 방향전환론에 대해 최초로 나름대로의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는 점, 아울러 방향전환 이론 가운데 최초로 구체적인 작품을 들어 제 2기의 시작을 알리고 있다는 점 등이 특이할 만하다.
조중곤은 김기진의 이러한 견해, 곧 조명희의 「낙동강」을 제2기 작품의 효시로 보는 견해에 대해서 정면으로 반박한다. 그는 현재 조선의 전 운동이 방향전환을 한 것이 사실이며, 문예운동에서도 프롤레타리아 예술동맹의 방향전환이 있었고 규약과 강령의 개정이 이루어진 것이 주지의 사실임을 이야기한다. 그 |
|
|
|
|
|
김영민, 「한국문학비평논쟁사」, 한길사, 1992.
김영민,「한국근대문학비평사」, 소명출판, 1999.
김재용․이상경 외 2인, 『한국근대민족문학사』, 한길사, 1993.
역사문제연구소 문학사연구모임, 『카프문학운동 연구』, 역사비평사, 1990.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