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은 쾌락의 수단인가
리포트 > 사회과학
성은 쾌락의 수단인가
파워포인트
2013.05.01
71페이지
1. 성은 쾌락의 수단인가.pptx
2. 성은 쾌락의 수단인가.pdf
성은 쾌락의 수단인가
성은 쾌락의 수단인가, 종족 보존의 수단인가
문제제기
인간의 삶과 성의 관계
성적 욕구의 위상과 성의 상업화
성, 결혼, 가정의 관계
12
一. 문제 제기
많은 생명체는 성(性)을 가지고 태어난다.
① 양성(兩性)을 가진 것
② 음성과 양성을 가진 존재(대부분)
음성은 양성을 양성은 음성을 향한다.

3
전류가 있어서 전류가 +전류와 결합하고,
같은 전류끼리는 결합되지 않듯이,
또 많은 전류가 흐르게 하려고 양극을 너무 자주 접촉시키면 과부하가 걸리듯이,
이 우주 속에 살고 있는 생명체 역시 그런 자연의 원리를 따르고 있다.
4
인간의 성행위:

인간의 성은 다른 무기물이나 생물체들처럼 물리 법칙이나 생리 법칙 및 욕구 법칙에 이끌리는 기계적 존재만은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인간의 성(性)행위는 다른 존재들과는 달리 자율성을 지닌 행위이며, 가치와 연관된 행위이다.
5
인간의 성을 단순히 자신의 욕구 충족이나 고통 해소의 도구로 전락시킴으로써,
스스로를 기계적 욕망의 법칙에 예속되도록 만들고 있다.

인간의 욕구 충족에 대한 끊임없는 추구는 성에도 조작적 행위를 양산하도록 만든다.
6
이로 인해 성(性)의 주체인 몸이 서로 살아 있는 인격체로 간주되지 못하고,
도구로 전락되는 ‘기계적’ 육체가 되고 있다.
성의 상품화→ 이런 상황을 더욱 더 부추기고 있으며,
사이버 섹스→ 정보화 물결과 함께 이런 상황을 점점 더 가속화하고 있다.
성(性)의 본연의 가치와 의미가 무엇인가를 성찰해 보자
7
二. 철학적 성찰
1. 인간의 삶과 성(性)의 관계

인간:
① 사유하는 정신적 존재→ 정신적 삶
(도덕성이 중요한 요소)
8
② 먹고, 입고 살아가는 육체적 존재→ 육체적 삶(경제성이 중요한 요소)
(욕망을 충족하면서(식욕, 성욕, 수면욕 등) )
9
도덕성 강조
도덕성
육체
경제
활동
금욕주의
(고, 중세 신분적 사회 초래)
강조
무시
10
경제성 강조
경제성
정신
도덕
활동
무시
강조
쾌락주의
(근대 부르주아 사회 초래)
11
....
흔들리는 아이들의 성3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뇌> 독서감상문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전인습적 수준, 인습.. 프로이드이론의 경제적 모델 및 지형학적 모델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과 에릭슨의 성격발달.. 피아제(Piaget)와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
[아동기 도덕성발달] 피아제와 콜버그의 도덕성.. [도덕성발달] 콜버그와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이..
성폭행,성폭행사례및분석,성폭행원인및대책,성.. [최신A+우수자료]반사회적 성격장애[사이코 패..
잭 웰치의 위대한 승리[독후감] [청소년복지론] 청소년복지행정 및 서비스 전달..
성 그리고 문학 특정 장소에서의 집회 및 시위 금지규정을 둔 ..
 
상담 분석 - 영화 ‘굿윌헌팅(G..
[빈곤의 개념] 절대빈곤과 상..
전이와 역전이를 정의하고 경..
학교밖청소년(개념, 실태, 원..
종군위안부문제에대한
비영리조직에서 후원자개발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