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계이론(system theory)은 공식적 ․ 체계적으로 구성된 인간의 복합체인 조직을 하나의 물리적 ․ 생물학적 체계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체계(system)로서 인식하는 접근법이다. 체계란 공동목적 달성을 위하여 둘 이상의 부분들이 상호작용하는 전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하나의 체계는 보다 큰 체계의 한 부분이며 따라서 하위체계이기도 하다. 모든 체계는 많은 부분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부분요소들은 서로 관련을 가지고 상호작용하며, 또한 외부환경의 다른 체계와도 틀림없이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다. 체계에 대한 환경이란 그 체계에 영향을 미치고 그 체계로부터 영향을 받는 모든 외부의 사물들을 말한다.
1950년대를 거쳐 1960년대 중반에 이르러서는 조직의 보다 포괄적인 접근방법으로 체계론이 크게 발전하였다. 조직을 폐쇄적인 것이 아니라 개방된 체계로서 인식하기 시작한 것은 구조기능주의와 일반 체계론이 조직에 적용되기 시작하면서부터이다. 체계론은 조직 내의 갈등이나 분파적인 요소보다는 조직의 통합과 상호의존성을 강조한다. 또한 조직은 내 ․ 외부적으로 조직을 구성하거나 영향을 주는 요소들 간의 균형과 평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체계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1) 체계는 일정한 경계(boundary)를 가지고 있는데, 이 경계에 의하여 상위체계와 구별되며, 관련된 요소간에 어느 정도의 독자적인 영역을 갖는다.
(2) 체계는 보다 작은 하위체계(sub-system)로 구성된다.
(3) 체계의 여러 구성부분 사이에는 상호작용의 관계가 있어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
(4) 체계는 투입(input), 전환(throughput or conversion), 산출(output), 환류(feedback)의 구조를 갖는다.
․ 투입(input, 에너지의 중요성) : 모든 사회구조는 생존하기 위해 환경으로부터 재료와 자원을 필요로 한다. 이 에너지는 투입으로서 기능한다. 사회복지조직에서 투입은 서비스를 받을 클라이언트와 그들에게 서비스 할 자원이라고 볼 수 있다.
․ 전환(throughput) : 열린 체계는 투여 받은 채료를 다시 조직화하고 또는 전환시키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사용한다. 사회복지조직에서 원료는 클라이언트이며 문제가 있는 클라이언트(개인 또는 가족)는 문제가 경감되고 해결된다.
․ 산출(output) : 열린 체계는 환경 속으로 생산물을 내보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