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조선과 명의 대외관계
|
|
|
|
조선과 명의 대외관계
1. 머리말
2. 조선전기의 조·명관계
3. 임진왜란과 조·명관계의 변화
3. 임진왜란시기 조·명의 문화교류
4. 맺음말
1. 머리말
조선과 명의 대외관계에 대해 주로 문헌상의 자료로 체계를 잡았고 각종 자료와 참고문헌, 논문위주로 서술 하였다. 우선 대외관계를 다루기 전에 그 당시의 시대상황을 알아야 한다. 조선과 명나라의 대외관계를 규정하는 원칙이 ‘조공-책봉체제‘ 라는 것이다.
조선시대인의 세계인식에서 대표적인 사고방식은 천원지방관(天圓地方觀)과 중화주의적 세계관(中華主義的 世界觀)이었다. 특히 조선의 개국과 함께 유교가 지배이념으로 채택되면서 후자의 세계관이 중심개념이 되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사대교린(事大交隣)의 대외정책을 펼치게 되는 것이며, 중화주의적 화이관(華夷觀)은 고대 중국인의 중화사상에서 출발한 것으로 중국 중심적인 세계관이었다. 그들의 문화적 우월의식에 입각하여 한족(漢族)이 살던 지역을 ‘내(內)’, 주변민족이 살던 지역을 ‘외(外)’, 그 종족 및 문화를 ‘이(夷)’로 구분하였다. 처음 문화적 우월관념에서 출발해 종족적·지리적 관념이 결합된 형태로 전개된 중화주의적 화이관에는 이 세 가지 요소가 구비되어 있다. 조선은 중화주의적 화이관과 사대조공 체제에서는 ‘이적(夷狄)’으로 분류되지만, 유교문화 면에서는 중국과 대등하거나 버금간다고 자부하면서 스스로 ‘화(華)’로 자처하였다. 스스로를 ‘소중화(小中華)’라고 하여 중화인 명과 일체화시키는 한편 주변국가를 배제하여 ‘이적(夷狄)’으로 간주하였다.
조선 왕조는 중국대륙에서 원나라와 명나라가 교체하는 시기에 개창되었다. 특히 이러한 변화는 여말 선초의 변동과 국제 정세에 눈에 띌 만한 변화와 맞물려 일어났다는 점에서 이 시기 대외관계의 의미심장함을 엿볼 수 있다. 친명반원 정책을 주장하던 조선 건국의 주체세력들은 명으로부터 정치적, 문화적, 경제적인 면의 실리를 얻고자 조선 건국 이후에도 친명 사대외교를 계속 유지하였다.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