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문화
리포트 > 생활/환경
놀이문화
한글
2013.05.01
5페이지
1. 놀이문화.hwp
2. 놀이문화.pdf
놀이문화
의성의 민속 사례
- 놀이문화를 중심으로

[의성 기와밟기]
1. 의성 기와밟기
놋다리 밟기는 작은 보름과 대보름날 밤에 경상북도 일대에서 부녀자들이 행하던 놀이로 의성에서는 기와밟기 라고 하며, 동교(銅橋) , 인다리 등으로 불려지기도 한다. 인다리 는 인교(人橋)라는 말로, 수십 명의 부녀자들이 한 줄로 길게 늘어서서 허리를 굽히고 앞 사람의 허리를 두 손으로 껴 안아, 긴 다리를 만드는 데에서 온 이름이다.
의성의 기와밟기 는 허리를 굽힌 모양이 휘여진 골기와와 닮았다 하여 붙여진 것이다. 기와밟기 는 부녀자들이 남북 양편으로 갈라져서 놋다리를 만들어 맨 뒷 쪽의 사람부터 한 사람씩 순서대로 건너게 하고 다 건너간 뒤에는 내려서 그 자리에 허리를 굽히고 놋다리를 구성한다. 놋다리를 차례로 건너고 다시 만드는 과정을 반복하며 다리를 빨리 건너가는 내기를 하며, 이 때 남자들은 농악을 치고 함성을 질러서 응원해 준다. 그리고 이것이 끝나면 꼬께내기 라고 하여 다소 우악스러운 경기를 벌인다. 건강한 여자 네 사람이 손을 미음자 모양으로 잡아 목마를 만들고 이에 힘이 좋고 뚝심이 센 여자를 태우며 말 주위에 호위꾼을 세운다. 양편의 말이 근접하면 서로 옷이나 머리채를 잡아채고 상대방을 밀어내려고 애 쓰며 관중들은 응원으로 고함을 지르고 농악대는 깨어질듯 한 소리를 낸다. 이 사이에 말 위의 두 사람은 서로 엉겨 붙어서 상대를 말에서 떨어뜨리려는 육탄전을 벌인다. 이 싸움은 어느 쪽이든지 말에서 떨어지는 쪽이 패하게 된다.

[의성 기와밟기 민화]
그리고 또 다른 곳에서는 다리를 걸어갈 동자(童子)와 공주(公主)를 미리 뽑아 성장을 시키고 등 위를 걸어가게 하며 좌우 양쪽의 시녀 두 사람이 손을 높이 들어 부축해 준다. 엎드린 사람은 공주가 지나간 뒤, 다시 앞으로 나아가 허리를 굽힌다.
....
우리나라전통적인아동놀이에대한보고서 [청소년복지론] 청소년 놀이문화의 실태와 특성
놀이문화 청소년문화
한국문화의 역사, 성격, 특징, 음식문화, 놀이.. [보육] 놀이치료에 관해
[유아교육] 유아의 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아교육] 유아의 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놀이지도] 고전적 놀이이론과 현대적 놀이이론 [놀이지도] 고전적 놀이이론과 현대적 놀이이론
유아에게 있어 놀이가 지닌 의미가 무엇인지 놀.. 고전적놀이이론과 현대적놀이이론 그리고 놀이..
만5세반 9월~2월 2학기 관찰기록과 총평 (놀이,.. [문화] 문화의 정의
 
노인학대의 개념 및 유형, 학..
우리나라 서양음식문화의 변천사
서양음식역사 & 한국의 서양요..
주방의 메뉴경영관리
사회복지프로그램계획서(시설..
[사회복지개론]사회문제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