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공통감염병
리포트 > 의/약학
인수공통감염병
한글
2013.05.01
4페이지
1. 인수공통감염병.hwp
2. 인수공통감염병.pdf
인수공통감염병
1. 인수공통감염병이란

새로운 감염증 (emerging infectious disease)이 세계적으로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들 병원체의 병원소는 대부분이 고등 동물이나 절지동물이지만, 한편 원래는 동물의 병원체이던 것이 사람에게 적응한 HIV 같은 것도 있다. 인수공통 감염병이란 같은 병원체가 사람과 동물 모두에게 감염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하지만 동물로부터 사람에게 전파되는 감염증, 그 중에서도 전염성 감염을 더 중요시하게 된다. 세계보건기구 감시대상이기도 하다. 인수공통 감염병의 병원체에는 바이러스부터 기생충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고, 주요 감염원은 온혈동물이고, 야생동물과 가축도 감염원이 된다. 감염병분류에는 직접 인축 공통 전염병, 주기 인축 공통 전염병, 변태 인축 공통 전염병, 부패 인축 공통 전염병이있는데 최근에는 돼지인플루엔자(H5또는 H7 혈청형 바이러스 및 신종인플루엔자A(H1N1)가 새로 포함된다고 한다
사람에게만 일어나는 전염병은 개발도상국을 제외한 나라에서는 드물어졌다. 그러나 인수공통 감염병은 선진국에서도 계속 발생하고 있다. 동물은 사람의 식품원이고, 수송이나 노동 수단이 되며, 애완동물이 된다. 사람은 동물과의 직접적인 접촉, 동물성 식품 섭취, 또는 동물이 오염시킨 물로 인해서 감염이 된다.
....
인간과 동물 - 인수공통감염병과 야생동물 인간과 동물의 인수공통감염에 관해서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해서 <바이러스 쇼크> -인류 재앙의 실체, 알아야 살..
[호흡기계감염병] 호흡기계 전염병(디프테리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해 설명한 후, 외상..
역학단계 및 역학연구방법, 주요지역사회 간호..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기능론과 갈등론
전염병의 유행양식, 전염병 생성과정, 경구전염.. [만성전염병] 만성전염병의 종류와 특징 및 치..
감염병이 바꾼 세계사(인류와 바이러스의 끝없.. 감염병 일부 조사 - 성홍열, 페스트, 발진티푸..
간호사 직업에 대한 중요성 아동 간호학 - 아동 예방접종 정리
 
[물리치료] TAPING[타이핑] 치..
[의학공학개론] MRI[자기공명..
[치매] 치매의 개념과 유형(종..
[운동과 건강] 성인병과 운동
성인병의 정의 및 원인과 관리..
[성인간호학]폐렴, 치료와 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