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정부의 복지재정(지방재정의 특성과 의의)
리포트 > 경영/경제
지방정부의 복지재정(지방재정의 특성과 의의)
한글
2020.04.23
4페이지
1. 지방정부의 복지재정(지방재정의 특성과 의..
2. 지방정부의 복지재정(지방재정의 특성과 의..
지방정부의 복지재정(지방재정의 특성과 의의)
지방정부의 복지재정(지방재정의 특성과 의의)

지방재정(local finance)은 공공재정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라 할 수 있다. 특히, 1995년부터 본격적인 지방자치가 실시되면서 지방재정의 중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으며, 지방정부의 복지재정은 지역복지에 대한 주민의 관심에 따라 그 중요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복지재정을 중심으로 지방복지 재정의 의의를 파악한다.

I. 지방재정의 일반적 특성

지방 복지재정(local welfare finance)에 관한 접근에 앞서 지방재정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지방재정은 각 자치단체 주체가 수입과 지출을 관장하는 모든 재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국가의 전체 재정 중 중앙정부가 직접 집행하는 부분을 제외한 모든 부분이 지방재정에 해당한다.
그러나 중앙재정과 지방재정은 상호 이질적이거나 배타적이라고 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국고보조금, 지방교부세, 지방양여금 등은 지방재정에 대한 중앙재정의 보조적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방재정은 복지서비스를 포함하여 각종 행정서비스의 직접적인 전달자라는 점에서 주민의 욕구에 시기적절하게 부응할 수 있는 대응성(responsiveness)을 갖고 있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 예산 가운데 지방채정이 차지하는 비중은 증가 추세에 있다.
지방재정의 일반적인 수입과 지출을 살펴보면, 먼저 수입은 자립재원과 의존재원, 일반회계 수입과 특별회계 수입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시 ․ 도의 재정 수입과 시 ․ 군 ․ 구의 재정 수입 등 주체에 따라 구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일반회계를 구분하는 방법에 준용하여 지방세(local tax), 협의의 세외수입(non-tax revenues), 지방교부세(local share tax), 조정교부금(control grants), 국고보조금(subsidy), 지정 재원(designated financial sources) 등으로 구분하며, 공기업 특별회계, 기타 특별회계로 구분되는 특별회계의 경우에는 사업수입과 사업외 수입, 보조금 지방채 수입 등으로 그 수입을 구분할 수 있다.
지방재정의 지출 항목의 경우에도 그 기준은 다양하나 일반적으로 지방재정 일반회계의 지출 항목에 따라 의회비(national assembly), 일반행정
...
개념, 정의, 특징, 특성, 과제
[지방재정의 이론적 기초] 지방재정의 의의(개.. [사회복지재정] 지방정부 및 민간복지기관의 사..
지방재정의 의의와 특징 및 유형과 운영원칙, .. 사회복지행정의 재정에 있어서 사회복지재정의 ..
[지방재정제도] 지방재정의 의의(개념 및 특징).. 사회복지 전달체계로서 지방정부의 특성과 한계점
[지방재정제도] 지방재정의 의의(개념 및 특징).. [지방재정제도] 지방재정 개념과 특성, 지방재..
복지재정발표팀 [교육재정] 교육재정의 개념과 특성, 원리, 확..
사회복지 재원조달 방법, 중앙정부가 지방정부.. 국가재정의 구조(정부의 범주, 중앙정부의 재정..
지방재정조정제도) 지방제정조정제도의 의의와 .. 지방재정이란
 
생태체계이론(생태체계이론의 ..
사회복지실천모델(4체계모델,..
체계론적 사고의 기본 논리
[중독과 가족] 공동의존의 증..
비비고 bibigo 경영전략과 해..
영국의 자원봉사 현황(자원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