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산 염기 적정 실험 |  
        |  |  
        |  |  
        |  |  
        | 산  염기 적정 목 차
 실험목적
 이론
 기구 및 시약
 실험방법
 주의사항
 참고문헌
 실 험 목 적
 
 산과 염기는 서로 반응하면 염과 물을 형성한다. 이 반응은 매우 정량적이므로 농도를 정확히 알고 있는 표준용액(산 또는 염기)을 만들어 시료용액과 반응시킬 때 소비된 표준용액의 부피로부터 시료용액의 농도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지시약을 이용한 산-염기 적정을 통하여 산-염기 적정법을 이해한다.
 
 [Point]지시약을 이용한 산-염기 적정을 통하여 산-염기 적정법을 이해한다.
 
 이 론
 적정
 일정한 부피의 시료용액 내에 존재하는 알고자 하는 물질의 전량을, 이것과 반응하는 데 필요한 이미 알고 있는 농도의 시약의 부피를 측정하여 그 양으로부터 알고자 하는 물질의 양을 구하는 방법.
 적정의 종류
 산  염기 적정
 미지 농도의 산(염기)에 농도를 알고있는 염기(산)의 당량만가하여 그 소비량으로부터 산이나 염기의 농도를 알아내는 실험.
 산화  환원 적정
 산화제가 든 용액에 환원제가 든 용액으로 적정 하는 실험.
 
 ② 당량점
 산-염기 중화반응에서 말하는 중화점과 같은 표현.
 즉, 산에 염기를 가하는 중화적정 실험을 한 경우 가한 염기의 화학량이 초기 산의 화학량과 같아지는 점.
 
 ③ 종말점
 산-염기 중화반응에서 지시약의 색이 변할 때가한 염기(산)의양을 측정한 부피.
 
 ④ 중화반응 : 산 + 염기 = 물
 
 산과 염기가 반응하면 물이 생성되는 반응.
 Ex) 수산화나트륨용액과 염산에는 이온이 존재. 이 중 수소 이온과 수산화 이온이 결합하여 물을 형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