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
프로그램 평가는 가족상담, 사례관리, 가정위탁보호 등과 같은 많은 클라이언트나 전체 지역사회에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평가하는 것이다(Compton & Galaway, 1994, 1999). 프로그램 평가 역시 형성적이고 총괄적일 수 있다.
프로그램 평가가 프로그램을 검토하고 기관의 클라이언트나 지역사회에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기능수행을 변화시키는 데 기초를 두고 사용된다면 형성적이다. 반면, 평가가 이사회나 재원 제공자에게 노력의 결과를 보고하는 데 사용된다면 총괄적인 것이다. 허드슨과 그린넬(Hudson & Gnnnell, 1989)은 프로그램 평가의 다섯 가지 범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 욕구사정 : 프로그램 수립에 대한 가능성을 결정하는 것이다.
* 평가 가능성 사정 : 프로그램이 평가될 수 있는가를 결정하는 짓, 자원을 활동에 연결시켜 주고 활동을 의도된 결과로 이어주는 논리뿐 아니라, 프로그램에 필요한 자원, 예상되는 프로그램 활동, 그리고 의도한 프로그램 결과를 분명히 한다.
* 과정분석(때로는 형성평가라고도 부름) : 프로그램에 대한 개입을 모니터하고 측정하는 것이다.
* 결과분석 :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결정하기 위해 프로그램 결과를 측정하는 것, 프로그램 비용의 측정과 병행할 때, 결과분석은 비용-효과와 비용-편익을 설명해 준다. 비용-편익 연구는 비용-효과성 연구 이상의 많은 이익을 고려한다.
* 프로그램 모니터 : 자원과 활동, 결과에 대한 프로그램 자료의 계속적이며 끊임없는 수집과 분석, 그리고 프로그램 정보에 관한 보고를 말한다.
과정과 결과 분석이 한 번의 연구로 끝날 수 있지만, 모니터는 계속되며, 보통 컴퓨터에 들어 있는 정보시스템을 포함한다.
평가는 변화과정과 결과 모두를 측정하는 과학적인 방법을 적용한다. 평가절차는 프로그램과 특정한 개입계획의 절차와 같다. 따라서 프로그램 평가와 사회복지실천 평가를 엄격히 구분하는 것은 타당하지 못하다고 보는 경향이 일반적이다.
평가는 변화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개입 자체(독립변수)의 성질과 프로그램이나 개입의 결과(종속변수)를 측정한다.
총괄평가는 프로그램이나 개입결과 또는 효과를 연구하는 것이고 형성평가는 프로그램 과정에 관한 연구이다. 두 가지 유형의 평가는 두 가지 수준에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