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직무
|
|
|
|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직무
학교체계에는 학생 외에 교장, 교사, 행정가, 사무원 등의 인적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교직원회, 교과과정개발위원회, 기성회, 운영위원회, 장학회, 학교발전위원회, 학부모회 등 각종 기구가 있다. 각 기구마다 담당자와 최고관리가자 배치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학생을 위한 교육목표달성을 위하여 존재하며, 학교사회복지사는 이들과도 함께 일해야 한다.
학교체계에 관련된 인사 가운데서 가장 일선에서 학생들과 접촉하는 사람은 교사이다. 고등학교 이하 학교에서는 특히 초등학교에 내려갈수록 담임교사들의 학생에 대한 역할과 영향력의 비중이 증가한다.
어떤 학생이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 이를 제일 먼저 발견하는 사람은 보통 담임교사이다. 담임교사는 교육 전문직의 특성상 학생의 학업성취의 맥락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규정한다. 교사는 교육의 전체적 흐름에서 벗어나는 일부 학생의 행동을 전체 학급의 통솔을 위하여 개선되어야 할 문제로 지목할 수밖에 없다.
학업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을 위하여 여러 가지 대안으로 개선을 처음 시도해 보는 사람도 역시 담임교사이다. 학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모의 참여를 권장하기도 한다. 사회사업가에게 의뢰한 후에도 학생의 행동변화를 관찰하고 개선정도를 가장 많이, 직접적으로 파악하는 사람도 교사이다.
교사는 한 학급에 30-40명, 많게는 50-60명의 학생을 상대해야 하므로 전체학생에게 우선적 관심을 가져야 한다.
반면에 학교사회복지사는 어려움을 겪는 일부 학생에게 집중적 관심을 가진다. 학교사회복지사와 교사는 학교경험이라는 매개물을 통하여 학생의 발달을 돕는다는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서로 동료로서 자주 접촉하게 되므로 교사와 사회사업가는 각자의 전문지식과 기술을 교환하게 된다.
때때로 교사가 사회사업가에게 상담기술, 자원개발과 동원, 정신건강지식 등의 분야에서 자문을 청하기도 한다.
사회사업가에게 자문을 구하거나 협조요청을 주저하는 교사들도 있다. 이런 교사들에게도 사회사업가는 기다리며 개방하는 마음으로 관계형성을 시도해야 한다.
일단 교사들이 사회사업가를 활용하기로 결정한다면 학생에게 더할 나위 없이 유익한 협력자이기 때문이다.
사회사업가는 가정방문, 치료과정에서 획득한 정보를 필요에 따라 교사와 나누며, 교사로부터 학생의 학업수행능력 및 성적 등의 기록을 인도받는다. 교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