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전환 교육 프로그램] 전환 교육 모델
II.Halpern의 전환 교육 모델
III.종합적 전환교육 모델
그림] Halpern의 전환 교육 모델
표> 종합적 전환 교육 모델
|
|
|
|
장애청년들이 초기 성인기에 직업과 지역사회 생활에서 실패하는 것에 대한 우려에서 미국 국회는 1983년 "장애아 교육법"을 개정하면서 장애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중등 특수교육과 전환교육 서비스를 위한 재원을 마련하였다.
1984년에는 특수교육 및 재활서비스국(OSERS)의 책임자인 Will 이 전환 교육 서비스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은 세 가지 유형의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서비스 유형은 중등 특수교육과 직업 적응을 연결하는 다리로 개념화되어 있으며 (Will, 1984), 장애청년이 학교에서 성인기의 직업으로 성공적인 전환을 하는 데 필요한 서비스의 특성이나 범위에 따라 구분된다.
첫 번째 유형은 '일반적 전환 서비스'인데, 특별한 전환 서비스가 필요하지 않은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다.
두 번째 유형은 '시간 제한적 전환 서비스'인데, 이 경우는 직업재활기관이나 성인서비스 기관에서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의 일반직업에 적응하도록 특별하게 만든 서비스를 제한된 시간 동안에 제공받게 된다.
그는 지역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생활하는 것이 전환 교육 서비스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Will이 말한 세 가지 유형의 서비스(일반적 서비스, 시간 제한적 서비스, 지속적 서비스)는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것을 돕는 방향으로 제공되어야 한다고 하면서 더욱 확장된 전환 교육 모델을 제기하였다.
종합적 전환교육 모델은 한 학생 이 교수, 지역사회 경험, 고용 및 다른 중 등 이후 성인생활의 영역에서 전환 서비스를 충족하기 위하여 무엇이 필요한지를 결정하는 데 IDEA하에서의 IEP 요구사항에 반응하기 위한 틀로서 아홉 가지 영역이 제안된다.
대인관계 기술 혹은 사회화 기술은 연령 수준에 따라 변화하지만 가족, 학교 및 지역사회 관계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대인관계 기술로 구성된다.
장애 청년을 위한 고용기술은 일반적 고용기술, 일반적 직업기술, 구체적 직업기술을 의미한다.
인간 행동과 사회환경-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인간 발달/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교문사/2016 |
|
서비스, 기술, 전환, 교육, 직업, 사회, 지역, 모델, 영역, 위, 장애, 일반, 되어다, 유형, 필요하다, 가지, 건강, 생활, 성공, 발달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