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과목명] 대중문화의 이해
교재 108쪽에는 “젊은 세대의 자유분방한 문화적 에너지가 과거와는 다른 자발적 참여의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갈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표현이 나옵니다. 이 내용을 참조하면서 2000년대 이후 우리 사회에 나타난 자발적 참여 문화의 사례를 들고 그에 대해 분석해 보십시오. 분석을 하실 때는 자발적 참여 문화가 등장할 수 있었던 배경을 살펴본 후, 이 사례에서 문화의 주체는 누구였으며 그들의 속성은 어떠하였는지, 또 어떤 방식으로 참여가 이루어졌고 이런 방식이 자발적이었다고 볼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지, 과거 유사한 사례와 비교해 볼 때 이 방식의 새로움은 무엇이었는지 등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분석을 해 주십시오.
성심성의껏 작성한 글이며, 다양한 참고자료를 사용하여 글을 풀어나갔습니다. 성적은 A+ 이 나왔습니다. 그 이후에도 여러 번 자료를 검토하여 더욱 완성도가 높은 자료로 만들어 냈습니다. 구매하시면 후회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
|
|
|
Ι. 서론
Ⅱ. 본론
1. 내가 선정한 자발적 참여 문화(선정이유)
2.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시위
1) 전개과정 및 결과
2) 등장배경
3) 주체와 참여방식
3. 세월호 참사 시위
1) 전개과정 및 결과
2)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시위와의 비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
|
|
|
우리나라의 자발적 참여 문화는 1960년 4·19혁명 부패한 이승만 정권을 무너트린 이후 1987년 6·10항쟁이 벌어지기까지 불법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것은 정부의 경계 대상이었고 정부를 찬양하는 시위만 오직 허용되었다.
6·10항쟁 이후 우리는 집회의 자유를 본격적으로 누리기 시작하였으며, 근 20년 동안 2002 월드컵 응원문화, 노무현 탄핵 혹은 반대 시위, 광우병 위험 소 반대 시위, 세월호 참사 관련 시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시위, 이태원 참사 관련 집회 등이 있었다. 최근에는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인 김건희 여사, 이재명 국회의원와 관련된 대규모 시위들이 벌어졌었다. 이외에도 크고 작은 시위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 공공데이터포털을 보면, 집회의 개최횟수는 2011년 4만 2천여 건에서 2019년 기준 9만 5천여 건으로 두 배 이상 증가하였다. 단순히 데이터만 놓고 본다면, 자발적 참여 문화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겠다. |
|
|
|
|
|
공공데이터포털(https://www.data.go.kr).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머니투데이(https://news.mt.co.kr).
뉴시스(https://n.news.naver.com/mnews).
선데이저널(http://sundayjournalusa.com).
박근혜정권 퇴진 비상국민행동(http://bisang2016.net).
대한민국 정책브리핑(https://www.korea.kr/news).
재외동포신문(http://www.dongponews.net/news).
경향신문(https://m.khan.co.kr).
연합뉴스(https://www.yna.co.kr).
IT조선(https://it.chosun.com).
데일리한국(https://daily.hankooki.com/news).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http://416sewolfamily.org).
미디어오늘(http://www.mediatoday.co.kr/news).
한겨레(https://www.hani.co.kr).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