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수용전념치료가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
|
|
1.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1) 부양부담에 관한 이론적 고찰
2) 치매노인에 대한 이해
3. 참고문헌 |
|
|
|
(2) 사회상황의 변화
최근 국내 치매 노인은 2014년 4월 기준으로 이미 59만명이 넘었으며, 2025년에는 100만명, 2043년에는 200만 명에 이를 것이라고 예상된다(중앙치매센터 HP). 이러한 치매노인의 증가와 더불어 치매노인을 부양하는 부양자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치매는 심한 건망증과 기억장애로 시작하여 피해망상과 환각증상, 판단력의 저하, 배회 등의 증세가 서서히 장기간에 걸쳐 나타난다. 따라서 24시간 장기간에 걸친 수발이 요구되어 치매노인의 부양자들이 부양으로 오는 부담 및 스트레스가 크다는 사실은 이미 국내외 다양한 연구를 통해서 밝혀졌다. 이러한 부양부담으로 오는 여러 문제들로 인해 부양자는 ‘숨겨진 환자(hidden patients)’라고 불리우며(이윤로,2003; 이애숙·김한곤,2003;권중돈 외,2002;김원경,2011), 특히 부양자가 가족일 경우에는 숨겨진 환자를 포함하여 가족 내 2명 이상의 환자가 동시에 만들어 진다(이성희 2006).
하지만 최근 치매와 관련하여 부양자에 대한 역할이 부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양자를 고려한 프로그램은 아주 미비한 상태이다(순덕기, 2012).
(3) 관련 사회지표
국가가 전국적 차원에서 실시한 치매 유병률 조사를 보면, 2010년 이후로는 65세 이상 노인 중 치매환자 비율이 8.8%로 67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며, 매 20년 마다 치매노인의 수가 2배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2027년에는 치매노인이 100만 명을 넘을 것으로 본다. 이는 치매노인의 증가와 더불어 부양자의 증가를 예상할 수 있다.
(4) 정책·서비스·개입방법의 도입
현재 치매노인 부양자에 대한 부양부담감을 완화하고자 치매치료관리비지원사업과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치매특별등급제, 치매환자 가족 휴가제가 시행되고 있다. |
|
|
|
|
|
고수현(2009), 사회복지윤리와 철학, 경기: 양서원.
권중돈 외5(2002), 치매와 가족, 서울: 학지사.
권중돈(1994), 치매노인의 부양실태와 대응전략,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상윤(2004), 치매의 의학적 기초김원경(2014), 치매 가족의 자살 및 살인사건에 대한 신문기사 분석, 보건사회연구.
김원경(2011), 일본 치매노인가족의 실태와 지원에 관한 연구: 효고현내에서의 '가족회'조사를 중심으로. 2011년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김재엽·최장원(2011), 치매 노인을 둔 가족의 부양의식과 부양부담이 가족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상문화학회
김태현·한은주(2007). 요양원에 입소한 치매노인 가족의 시설부양에 대한 만족도 관련 변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김효신(2010), 치매노인 부양가족원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국제학술대회.
민숭기(2014), 경제투데이, http://www.eto.co.kr/news/outview.asp?Code=*************0793&ts=133135.
민진희 외 2명(2010), 고령화 사회의 위기와 치매노인의 부양부담, 국가위기관리학회보.
박응진(2014), 뉴스1, http://news1.kr/articles/?1926427.
박현우 외1명(2014), 뉴스1, http://news1.kr/articles/?1485072.
박창제·이성진(2011),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유형별 가족 부양스트레스 경로, 한국노년학회.
보건복지부(2005), 2000~2020 치매노인수 추계.
순덕기(2012),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복지경영학회, pp, 167-200.
송은주·조혜경(2014), 치매간병가족을 위한 행복 더하기 프로그램이 가족간병자의 수면, 우울, 간병 부담감,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신경림.김옥수,강윤희,강윤숙,김미혜,정순둘 외(2009), 요양보호사 표준교재, 서울: 보건복지부.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