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편측성 지각장애 간호과정] 뇌졸중 환자의 편측성 지각장애 간호진단,간호과정 케이스
# 편측성 지각장애 환자를 위한 간호진단과 계획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으며 실무에서 필요한 구체적인 사례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편측성 지각장애의 특성에 맞는 진단 항목을 상세히 구분하여, 실제 간호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 최신 연구와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상황에 근거한 유용한 정보들만을 포함하였습니다.
간호계획 및 이론적근거는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간호수행에 대한 중재 내용도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기록하였습니다.
|
|
|
 |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1) 간호계획
2) 이론적 근거
- 진단적 근거
- 치료적 근거
- 교육적 근거
5. 간호수행
6.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참고문헌> |
|
|
 |
1) 주관적 자료
- 환자는 자신이 겪고 있는 증상에 대해 “오른쪽 손과 팔이 저리고 감각이 무뎌진 느낌이 들어서 힘이 안 들어가요”라고 이야기하며 불편감을 표현한다.
- 환자는 “왼쪽으로만 물건을 들고, 오른쪽 팔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어서 너무 불편하다”고 말하면서 오른쪽 팔의 기능 저하를 강조한다.
- 환자는 “어떤 물건을 만져도 왼쪽 손에서는 제대로 감지되는데 오른쪽 손에서는 그 느낌이 전혀 느껴지지 않아요”라고, 한쪽 손에서의 감각 차이를 호소한다.
- 환자는 “눈을 감고 오른쪽 팔을 만져도 그 상태가 무엇인지 알 수가 없어요. 그 팔에 무엇이 있는지 잘 모르겠어요”라며 오른쪽 팔의 감각 장애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다.
- 환자는 또한 “이쪽 팔이 저려서 사용하기 힘들고, 잘못하면 떨어뜨릴까봐 걱정돼요”라고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 |
|
|
|
|
 |
(1) 김영선, 박정화. 뇌졸중 환자의 편측성 지각장애와 재활 치료의 효과. 한국간호학회지, 49(4), 445-455.
(2) 이수정, 정혜윤. 뇌졸중 환자의 지각장애와 신경학적 회복 과정에 대한 간호 중재. 재활간호학회지, 23(1), 33-44.
(3) 최유진, 김혜정. 뇌졸중 환자의 편측성 지각장애 개선을 위한 물리치료 및 작업치료 병행 효과. 한국재활의학회지, 30(2), 121-130.
(4) 장정희, 송명희. 뇌졸중 환자에서의 지각장애와 그로 인한 일상생활 활동 수행 능력. 간호학술지, 35(2), 97-106.
(5) 박서연, 김영숙. 뇌졸중 후 지각장애를 가진 환자의 감각 재훈련 효과. 뇌졸중간호학회지, 18(3), 150-160.
(6) 이은혜, 정은숙. 뇌졸중 환자에서의 편측성 지각장애와 일상생활 수행 능력 간의 관계. 한국건강간호학회지, 23(1), 85-93.
(7) 조미영, 김지현. 뇌졸중 환자에서 편측성 지각장애의 간호적 접근과 개선 방안. 한국간호연구학회지, 28(4), 112-120.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