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더불어 공공기관이 추구하는 '예방 중심'의 유지보수 관리 방식에 부합하기 위해 설비점검 체크리스트 및 정기관리계획 수립 경험도 가지고 있습니다.
전기직으로서 전남개발공사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은 무엇인가요?
전기기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실무형 인턴 경험을 통해 공공시설 전력관리, 배선설계, 점검체계 수립 등 실질적인 기술역량을 갖추고 있습니다.
민간은 효율과 성과 중심이라면, 공공기관은 '안전'과 '책임'이 핵심입니다.
기술직에서 협업은 어떻게 이루어진다고 보시나요?
|
|
|
 |
한국전력공사의 전기설비 관리직무 인턴십을 수행하며 변전설비 점검, 배전선로 유지보수 계획 수립 업무를 경험하였고, 이를 통해 실무와 이론의 연결고리를 탄탄히 할 수 있었습니다.
더불어 공공기관이 추구하는 '예방 중심'의 유지보수 관리 방식에 부합하기 위해 설비점검 체크리스트 및 정기관리계획 수립 경험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단순한 점검 항목에만 의존하지 않고, 데이터와 현장 경험을 종합해 문제의 본질을 추적하는 분석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전기기사 자격증 준비와 졸업 프로젝트를 병행하던 시절, 개인적인 가족 건강 문제가 겹치며 학업과 시험 준비에 집중하기 어려운 시기가 있었습니다.
졸업 프로젝트 당시, 팀원들은 스마트 조명제어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기존 센서 방식만을 적용하려 했습니다.
하지만 저는 건물의 전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학습형 제어방식이 더 효과적일 것이라 판단했습니다.
이에 저는 유사 사례 분석을 통해 단순 센서 기반 시스템의 한계와, 머신러닝 기법이 적용된 제어방식의 에너지 효율 차이를 정리한 PPT를 준비했습니다.
결과적으로 팀원들의 동의를 얻어 해당 방식을 적용했고, 프로젝트 시연에서 교수님과 기업 관계자들로부터 '실용성과 기술 발전 가능성을 모두 갖춘 제안'이라는 긍정적 평가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민간은 효율과 성과 중심이라면, 공공기관은 '안전'과 '책임'이 핵심입니다.
전기직의 판단이 시민안전과 직결되기 때문에, 신속함보다 정확함, 비용보다 지속가능성이 우선되는 점이 다릅니다. |
 |
기술, 경험, 점검, 관리, 설비, 안전, 설계, 전력, 기반, 공사, 중심, 업무, 갖추다, 방식, 준비, 실무, 통해, 수립, 기준, 효율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