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정책론] 잔여적[보충적], 제도적 사회복지모델의 특징 및 장단점
리포트 > 사회과학
[사회복지정책론] 잔여적[보충적], 제도적 사회복지모델..
한글
2013.09.26
5페이지
1. [사회복지정책론] 잔여적[보충적], 제도적 ..
2. [사회복지정책론] 잔여적[보충적], 제도적 ..
[사회복지정책론] 잔여적[보충적], 제도적 사회복지모델의 특징 및 장단점
[사회복지정책론] 잔여적[보충적], 제도적 사회복지모델의 특징

목 차

1. 잔여적[보충적] 사회복지모델의 특징
● 모델의 기본개념
● 성립배경
● 장점
● 단점
2. 제도적 사회복지모델의 특징
● 모델의 기본개념
● 성립배경
● 장점
● 단점
3. 결론

1. 잔여적[보충적] 사회복지모델의 특징
● 모델의 기본개념
선별주의 - 개인의 욕구충족을 일차적으로 가족이나 시장을 통해 충족하도록 하는 것. 국가는 가족, 시장을 통해 충족할 수 있는 욕구에 대해 임시보완적 활동을 할 뿐임. 급여수준은 최저수준, 사회복지는 잠정적, 일시적인 기능을 대신하는 구호적 성격(시장을 통한 분배 중시)
자유방임의 사회철학에 근거하고 있다. 개인들의 욕구는 가족과 시장이라는 자연스런 제도에 의해 충족되는 것이 정상이라고 본다. 일시적으로 개인들이 이 기구로부터 욕구충족을 못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들에 대비해서 사회복지는 필요하다. 즉, 사회적 안전망의 개념으로서 줄타기를 하며 살아가는 사람들과 그 환경은 지극히 정상적이며 어쩌다 그들이 실패해서 줄에서 떨어지는 경우를 대비해서 그물을 쳐놓는다는 것이다.
정형화된 사회복지적인 노력과 활동들은 일시적인 위기가 지나가면 존재할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다. 잔여적 개념에서는 사회적 의존인구들은 비정상적인 집단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서비스 대상 인구들에게는 스티그마가 작용하게 된다-시녀적 도구로 비정상적인 개인들을 치료하고 복구하는데 주된 행정적 목표들이 주어진다.
이러한 모형은 초기산업사회 및 자유주의국가에서 많이 볼 수 있다.(미국, 일본)

잔여적 : 시장과 가족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할 때 서비스 제공

(예 공공부조) → 선별주의

● 성립배경
....
잔여적 사회복지와 제도적 사회복지의 개념과 .. [사회복지 행정론] 잔여적 개념과 제도적 개념
[사회복지 행정론] 잔여적 개념과 제도적 개념 [사회복지제도] 사회복지의 잔여적 개념과 제도..
복지국가 모형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2) 사회복지의 개념
사회복지정책의 제도적 개념과 잔여적 개념 잔여적 복지 모델과 제도적 복지 모델에 대해 ..
사회복지의 제도적 개념과 잔여적 개념에 대해 .. [사회복지정책] 사회복지정책의 개념과 영역, ..
사회복지정책의 제도적 개념과 잔여적 개념에 .. 사회복지의 제도적 개념과 잔여적 개념에 대해 ..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를 보는 시각인 잔여..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를 보는 시각인 잔여..
 
종군위안부문제에대한
비영리조직에서 후원자개발과 ..
긴급재난지원금 정책집행의 효..
노인빈곤문제
사회복지의 관한 용어정리와 ..
자원봉사자의 인정과 보상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