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기미술관의 외부공간에 대하여
목차
Ⅰ.서론
Ⅱ.본론
1.주변환경과의 조화
2.자연환경과 건물의 조화
3.내부공간적 외부공간
4.대칭적 비대칭성
5.긴장과 이완
6.공간의 중첩
Ⅲ.결론
♠.참고문헌
서론
우리나라의 고건축을 보면 공간체계를 내부, 외부로 분리해서 생각하기에는 힘든점이 많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고건축이 하나의 공간체계에 있어서 연결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들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들의 구분이란 어디까지나 형식상의 구분에 불과하다. 그리고 이와같이 형식상으로 구분해서 본다고 하면 외부공간의 비중이 대단히 크기 때문에 건축은 내부공간을 위해서라기보다 오히려 외부공간을 위해서 존재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우리나라의 고건축의 특성을 보면 지형을 잘 이용해서 작은 규모의 건축으로도 적절한 외부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볼수 있는데 이는 주변환경과의 조화를 나타내고 있다.
주변환경과의 조화이외에 나타나는 특성으로는 자연환경과 건물의 조화, 내부공간적 외부공간, 긴장과 이완, 공간의 중첩이 있다.
이들 요소는 환기미술관의 외부공간에서 볼수 있는 요소들로 전통성을 잘 나타내며 현대감각과도 잘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것이라 할수 있다. 따라서 이들 요소를 기본적으로 염두하며 환기미술관의 외부공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론
1.환기미술관에서 볼수 있는 전통성
1)주변환경과의 조화
마을이나 택지의 선정에서부터 마을의 패턴, 건물의 좌향 및 다른 건물과의 연관성등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에서는 풍수지리설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는 것을 알수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