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질마재 신화[神話;신선(神仙) 재곤(在坤)이] 작품 분석
작가 소개
서정주(徐廷柱 1915-2000) 시인. 전북 고창 출생. 호는 미당(未堂).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벽”이 당선되어 등단(1936). 1936년 불교전문 중퇴. [시인부락] 주간. 흔히 ‘생명파’ 혹은 ‘인생파’로 불림. 1948년 동아일보 사회․문화부장. 서라벌 예대․동국대 문리대 교수를 역임. 1972년 불교문학가협회장. 1976년 명예 문학박사(숙명여대). 1979년 한국문인협회 명예회장, 1979년 동국대 대학원 명예교수
주요 시집과 시 세계
[화사집](1938) : 악마적이며 원색적인 시풍, 토속적 분위기를 바탕으로 인간의 원죄 (原罪)를 노래함. 스스로를 죄인으로 여기고 그 운명적 업고(業苦)를 ‘문둥이’, ‘뱀’을 통해 울부짖었으며, 이후 미당은 ‘한국의 보들레르(프)’로 불림
[귀촉도](1946), [서정주 시선](1955) : 원숙한 자기 성찰과 달관을 통한 화해. 동양적 사상으로 접근하여 재생(再生)을 노래. 민족적 정조와 그 선율(旋律)을 읊음
[신라초](1960) : 불교 사상에 관심을 보여 주로 불교국(佛敎國) 신라에서 시의 소재를 얻음. 선적(禪的)인 정서를 바탕으로 인간 구원을 시도하고 새로운 질서를 확립함
[동천](1968) : [신라초] 시대보다 더 불교에 관심을 두고, 신비주의에 빠져드는 시기
[질마재 신화](1975), [떠돌이의 시](1976) : 토속적이며 주술적인 원시적 샤머니즘이 노래되며, 시의 형태도 산문시, 정형시로 바뀌게 됨
시 전문
신선(神仙) 재곤(在坤)이
땅 위에 살 자격이 있다는 뜻으로 재곤(在坤)이라는 이름을 가진 앉은뱅이 사내가 있었습니다. 성한 두 손으로 멍석도 절고 광주리도 절었지마는, 그것만으론 제 입 하나도 먹이지를 못해, 질마재 마을 사람들은 할 수 없이 그에게 마을을 앉아 돌며 밥을 빌어먹고 살 권리 하나를 특별히 주었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