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 - 조선후기 호적대장 연구에 관해서
리포트 > 사회과학
역사학 - 조선후기 호적대장 연구에 관해서
한글
2016.05.13
10페이지
1. 역사학 - 조선후기 호적대장 연구에 관해서..
2. 역사학 - 조선후기 호적대장 연구에 관해서..
역사학 - 조선후기 호적대장 연구에 관해서
호적대장 연구

-목차-

1.호적대장의 정의와 실재(實在)
2. 조선후기 호적의 작성과정
1)호구단자의 작성과 그 내용
2)호적중초와 각종 성책의 작성
3. 호적대장 ‘호구’기록의 검토
4. 호적대장 본문의 직역기재
1) 직역기재의 양상
2) 직역 기재의 의미
3) 직역연구의 과제
5. 조선후기 호적대장 연구 동향
1) 1970년대까지의 호적대장 연구동향
2) 1980년대 이후의 호적대장 연구의 경향
6. 호적대장 이해의 새로운 방향

1. 호적대장의 정의와 실재(實在)
1890년대 말의 광무년간에 소위 ‘광무호적’이 매년 작성되기 전까지, 조선왕조는 삼년을 한 식년으로 하여 호적을 작성하였다. 법제적으로 규정된 기재양식에 따라 호구를 기록하여 관에 제시하면 그것을 모야 행정구역별로 호를 편성하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현실적으로는 기왕의 기재에 준하여 다음 식년의 호구가 기록되어갔던 것으로 보인다. 이 개별 호구의 기록을 주(州)․ 부(府)․ 군(郡)․ 현(縣) 단위로 묶은 것이 호적대장이다.
....
정약용의 목민심서 중 호전육조를 읽고 조선 중기의 양란으로 인한 사회 변동에 대한 ..
화이트 칼라의 정체성 백남운
조선후기전통주거건축의칸에관한연구 [건축] 조선후기 전통 주거건축의 칸에 관한 연..
고려말∼조선시대 유학사상 연구동향 역사학 - 38선 확정에 관한 여러 학설
한국사의 이해 [사회학] 후기구조주의
정인보문일평손진태 호적(제적)등초본(열람)신청안내
사회과학과 역사학(사회과학과 역사연구의 관계) 팔만대장경 조판의 배경과 의미
 
[A+자료] 지역아동센터 아동관..
개념과 특성, 학자들이 말하는..
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자기소..
[아동복지센터] 사회복지실습..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로스만,..
대인지각(타인지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