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불교 - 반야경에서 설하는 공사상이란
|
|
|
|
불교 - 반야경에서 설하는 공사상이란
목 차
1.반야경에 대해
2.공사상이란
3. 공사상에 관한 개인적 접근
4.마치며..
5. 참조
1.반야경에 대해
우선 반야경에서 설하는 공사상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반야경이란 무엇이 길래 공사상에 관해 논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 볼 필요가 있다.
반야경을 검색해 보면 이러한 사전적 내용을 찾아 볼 수 있다.
‘초기 대승불교경전의 하나. 단, 단일한 경전이 아니라 각종 반야경전을 총칭한 것. 어떤 것에도 구애받지 않는 [공관(空觀)]의 입장에 서며, 그 경지에 이르기까지 보살의 [육바라밀]의 실천, 특히 [반야바라밀]의 체득이 강조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반야경 [般若經] (종교학대사전, 1998.8.20, 한국사전연구사)
즉 대승불교의 경전들을 총칭하는 것이 반야경이며 대승불교의 이론적 기초 사상이 담겨 있는 경전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심에는 공사상이 있었고 대승불교에서는 공사상을 통하여 보살의 경지에 이르는 방법을 논했다고 할 수 있겠다.
공사상을 이해한다는 것은 반야경을 이해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불교의 관점에서는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 수 있는 것이다.
2.공사상이란
공이란 용어의 원어는 본래 sunya 로 그 의미는 ‘속이 텅 빈’, ‘공허한’, ‘부풀어 오른’ 등의 의미를 가지는데 이 용어가 불교에 도입되면서 “공”으로 한역되어 쓰이게 되었다. 무(無)가 아니라 공(空)으로 표현된 것을 보면 단순이 비존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사물이 공이고 고정적인 실체를 갖지 않는다고 관(觀)하는 사상을 공관이라고 한다. 공관을 갖는 것을 공사상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계속해서 공에 대해 알아보자. 아래는 교재에서 발췌한 내용들이다.
공은 비존재의 의미가 아닌 무자성, 즉 자성의 비존재라는 의미이다. 여기서 자성이란 여러 법의 고유한 본질을 말한다. 즉 공은 고유한 본질이 없다는 의미가 된다.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