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수사 이론
리포트 > 사회과학
범죄수사 이론
한글
2011.03.10
73페이지
1. 수사요약정리.hwp
2. 수사요약정리.pdf
범죄수사 이론
■ 수사의 개관
▲ 수사의 의의
● 수사의 개념
- 형사사건에 관하여 공소제기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또는 공소를 제기하고
유지 / 수행하기 위한 준비로서 범죄사실을 조사하고 범인 및 증거를 발견 /
수집 / 보전하는 수사기관 활동

● 형식적 수사
1) 범죄에 대한 형사소추를 위한 법률적 절차행위
2) 범죄사실을 확인하여 법관 앞에 입증방법과 절차
3) 인권보장과 공공복리의 조화
- 범인체포시 신분증 제시 후 범죄사실 요지 및 체포이유 고지
4) 수단과 방법에 의한 수사
5) 합법성 요구

● 실질적 수사
1) 범인을 발견하고 증거를 수집하는 활동
2) 범죄의 실체적 진실을 밝히는 수사활동
3) 수사의 목적과 내용에 대한 실체적 진실발견
4) 합리성 요구
- 수사공조 / 각종 자료 및 감식시설 활용 / 타부서간의 업무협조

● 수사활동이 아닌 경우
1) 사인의 현행범 체포
2) 사설탐정의 조사행위
3) 행정목적 실현을 위한 행정기관의 조사행위
4) 검사가 소송당사자로서 증인신문 / 피고인 신문 / 증거조사
5) 수사개시 이전의 내사행위 / 불심검문 / 변사체 검시
단, 적극적 의미의 불심검문은 수사에 해당

▲ 범죄수사의 성질 및 수사활동
● 범죄수사의 과정
1) 하강과정
■ 범죄 또는 검증의 심증형성을 위한 증거수집 과정 (자유로운 증명)
■ 구속의 조건
- 범죄혐의가 증거에 의해 객관적으로 뒷받침되는 경우로서 즉 객관적 혐의시
....
핵심
수사학 [경찰의 범죄수사] 범죄수사의 기본원리(범죄수..
[범죄수사] 범죄진압 및 범죄수사의 의의, 수사.. 경찰의 수사과정(범죄수사)
외국(영국, 미국, 독일, 프랑스, 일본)의 수사.. 경찰수사권 독립(현행 검사와 경찰의 권한관계,..
경찰수사권 독립(현행 검사와 경찰의 권한관계,.. [법학] 형사소송법 총정리
불심검문 경찰의수사권독립
소송법상 지위에 대한 검토 경찰의 개념과 기능, 경찰조직, 경찰의 임무(활..
일본의 조세 범죄 관련 입법 지문날인반대,지문날인과 개인정보 자기결정권,..
 
1. 정신장애인의 인권침해사례..
청소년 복지 주요 대상에게 제..
실험설계의 유형을 제시하고 ..
실험설계의 정의에 대해 제시..
DISC 행동유형진단
(A+ 독후감) 역사란 무엇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