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와 인간
리포트 > 인문/어학
불교와 인간
한글
2011.03.10
6페이지
1. 불교와 인간.hwp
2. 불교와 인간.pdf
불교와 인간
仁王經

불 교 와 인 간

1997 . 12 . 5
(목차(
1 . 인왕경의 구조와 중심사상
서언
인왕경의 전역과 구조
반야바라밀의 공덕
반야바라밀의 내용
호국품의 내용
2 . 인왕경에 나타난 반야바라밀 실천적 수행
서언
인왕반야바라밀경
3 . 반야바라밀다와 호국
인왕경과 호국
지도자는 보살이어야 한다
불교의 정치사상
진리로써 호국한다

1 . 인왕경의 구조와 중심사상
서언
<인왕경>은 신라에 있어서 호국의 근본정신을 나타내는 경전으로 중요하게 취급되었으며, 그 실천을 강조한 신라 호국불교 사상의 중심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원측은 <인왕경주소>를 저술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모두 이러한 역사적 맥락과 깊은 관계에 있다고 보여지는 것이다.
오늘날 <인왕경>을 다시 조명한다는 작업은 오용되는 신라의 호국불교 사상을 올바르게 이해시키고, 진실로 호국불교는 어떠한 것이어야 하는가라는 당위성을 경의 내용을 통하여 성찰하고, 그 기반 위에서 오늘의 호국, 호교관의 좌표를 정립시키는데 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인왕경의 전역과 구조
<인왕경>은 그 번역이 역경사상에서 보면 다음과 같은 제역이 있다.
(서기 267년 진 축법호의 <인왕반야경> 1 권
(서기 401년 나집역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 2 권
(서기 554년 진제역 <인왕반야경> 1 권
(서기 765년 불공역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 2 권
그리고 이에 대한 疏는 천태지의 대사가 있고 신라의 원측이 <인왕경소>를 지었다.
문헌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인왕경>이 강설된 것은 진이 멸망하기 직전에 그 후주의 청으로 천태 지의 대사가 서기 586년에 궁내의 대극전과 광택사에서 두 차례에 걸쳐 강한 것이 최초의 일이다. 이것은 나집이 경을 번역한 401년부터 180년 뒤의 일이다. 중국의 인왕경 강설과 신앙은 실로 이때부터이다.
....
인문, 어학
인간과 종교 역사 - 불교의 역사와 불교 탐방기 인간과 동물의 관계
[우리나라의 아동발달이론] 불교의 아동발달관(.. 유교와 불교 역사, 유래, 성립, 확산, 전파과정..
우리나라의불교 힌두교와 불교의 공통점과 차이점
[의학] 인간 배아 줄기세포 연구 자이나교
인도의종교 인도의 종교와 사상
동양사상과 생태주의에 관해 기독교적 동양의 자연관, 불교, 힌두교, 유가사..
불교와 인간- 연기법이란 조선후기의 모습
 
[국문학] 장끼전 작품 분석
페이비어니즘의 원칙과 목표 ..
그리스도인은 인간을 어떻게 ..
평신도를깨운다
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
2022년 2학기 방송통신대 사회..